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5.2℃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7℃
  • 맑음대전 17.6℃
  • 맑음대구 16.3℃
  • 구름조금울산 12.4℃
  • 맑음광주 14.8℃
  • 구름많음부산 13.0℃
  • 맑음고창 12.3℃
  • 맑음제주 13.9℃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5℃
  • 구름조금금산 16.8℃
  • 맑음강진군 15.4℃
  • 맑음경주시 14.3℃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웰니스' 트렌드에 '한의약' 뜬다…무역협회 "연평균 8% 성장 전망"

무역협회 보고서…"한의약 제품, 수출 다각화 도움 될 것"

 

【 청년일보 】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보건의료 패러다임이 예방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전통 의약 산업이 새로운 글로벌 수출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6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글로벌 전통 의약 시대, 한의약 산업 경쟁력 분석과 수출 촉진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통 의약 시장은 2022년 약 5천186억달러에서 2027년 7천682억달러로 연평균 8.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통 의약이 만성질환 예방 및 의료비 절감에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며 "세계 주요국 역시 웰니스 트렌드와 맞물려 전통 의약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통 의약 시장에서는 중국(동인당·운남백약그룹), 인도(히말라야·다부르), 일본(쯔무라), 독일(벨레다) 등 글로벌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전통 의약 제품은 북미와 유럽 고소득층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소비가 늘고 있어, 시장 확대 가능성이 크다.


국내 한의약 시장 또한 2017년 약 11조원에서 2021년 12조6천억원으로 14.8% 성장했다. 한의학을 활용한 의료 서비스를 경험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의료 관광객도 증가하면서 관련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국내 한의약 기업 중 수출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26.4%에 불과하다. 주요 장애 요인으로는 해외 시장 정보 부족(89.4%), 자금 부족(30.6%), 국가별 상이한 인증 기준(25.3%) 등이 꼽혔다.


임지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전통 의약 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은 경쟁국인 중국과 인도 등에 크게 뒤처지지만, 원료를 가공해 응용한 제품 분야에 경쟁력이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한의약을 활용해 천연물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군을 확대한다면 한국의 수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