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해 반도체 수출이 회복되면서 전(全)산업생산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내수를 나타내는 서비스 생산, 소매판매, 건설 등 주요 지표는 부진을 면치 못하며 부문별 온도 차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산업생산 지수는 113.6(2020년=100)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지난해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등 영향으로 전년(1.0%)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특히 광공업 생산이 4.1% 증가하며 전체 산업생산 증가세를 견인했다. 제조업 생산 역시 4.4% 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1.4% 증가에 그쳐 전년(3.2%) 대비 증가 폭이 절반 이하로 축소되며 2020년(-2.0%)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내수를 반영하는 소매판매액은 2.2% 줄어들며 신용카드 대란이 있었던 2003년(-3.2%) 이후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이는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설비투자는 4.1% 증가했지만, 건설기성은 4.9% 감소하며 건설경기의 부진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이는 2021년(-6.7%)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지난해 12월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은 전달 대비 2.3% 증가했다. 9월부터 3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보이다가 4개월 만에 반등한 것이다. 광공업 생산은 4.6%, 서비스업 생산은 1.7% 늘었다.
그러나 소매판매는 0.6% 감소하며 9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소비가 위축된 영향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설비투자는 9.9% 증가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고,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던 건설기성도 1.3% 증가하며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한편, 현재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과 같았으며,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하락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