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6432525824_387888.jpg)
【 청년일보 】 최근 기업들이 경력직 채용을 확대함에 따라 20대 청년층의 취업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채민석 과장과 장수정 조사역은 4일 발표한 '경력직 채용 증가와 청년 고용' 보고서에서 "경력직 채용의 증가가 청년층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경력직 채용의 확대는 취업 경험이 없는 비경력자들의 고용 기회를 줄여, 청년층의 상용직 취업 확률이 경력자를 기준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지게 만든다. 이에 따라, 20대 청년층의 고용률 하락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력직 채용이 증가한 결과 20대의 상용직 고용률은 44%에서 34%로 10%포인트(p) 하락했다. 반면, 30대의 상용직 고용률은 54%에서 51%로 3%p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변화는 20대 청년층의 경제적 기회와 평생 소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또한 청년층의 구직 의욕 저하가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구직 노력이 30% 줄어든 경우, 20대의 고용률은 5.4%p 하락하고, 30대와의 고용률 격차는 1.1%p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생애 총 취업 기간은 1.6년 더 줄고, 생애 소득의 현재 가치는 10.4%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학교, 기업, 정부가 협력해 청년들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인턴십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을 통한 경력 개발 기회를 넓히는 등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완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