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토)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3.9℃
  • 맑음서울 -5.1℃
  • 대전 -4.6℃
  • 구름조금대구 -2.7℃
  • 맑음울산 -2.7℃
  • 광주 -2.7℃
  • 맑음부산 -1.9℃
  • 흐림고창 -1.4℃
  • 구름많음제주 2.4℃
  • 맑음강화 -6.4℃
  • 맑음보은 -7.2℃
  • 구름조금금산 -5.3℃
  • 흐림강진군 -3.9℃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김값' 폭등에 지난해 어업생산금액 첫 '10조원' 돌파…전년比 6.9%↑

어업생산량은 감소…기후 변화로 인한 고수온 영향

 

【 청년일보 】 지난해 김값 폭등의 영향으로 어업생산금액이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반면, 기후 변화로 인한 고수온 영향으로 어업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어업생산금액은 10조918억원으로 전년(9조4천369억원) 대비 6천549억원(6.9%) 증가했다. 해면 양식에서 김류와 넙치류 등의 산지가격이 상승한 데다 원양어업에서 오징어류와 가다랑어 생산량이 늘어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어업생산금액이 10조 원을 넘어선 것은 197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 어업생산량은 361만톤으로 전년(369만1천톤) 대비 8만1천톤(2.2%) 감소했다. 2022년 361만톤에서 2023년 369만1천톤으로 증가했지만, 지난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근해에 어종 유입이 원활하지 않으면서 고등어류, 살오징어, 멸치 등의 생산량이 줄었으며, 해면 양식의 바지락과 우렁쉥이(멍게)도 고수온으로 폐사해 작황이 부진했다.

 

어업별로 보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84만1천톤으로 전년보다 11만1천톤(11.6%) 감소했다. 해면양식업 생산량도 224만9천톤으로 3만6천톤(1.6%) 줄었으며, 송어류·우렁이류·재첩류 등을 포함한 내수면어업 생산량도 2천톤(5.4%) 감소했다.

 

반면, 원양어업 생산량은 47만9천톤으로 전년 대비 6만8천톤(16.7%)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경북(5.4%), 경기(5.0%), 강원(3.7%) 등에서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부산(-10.8%), 경남(-6.7%), 충남(-6.0%), 전남(-2.6%) 등에서는 감소세를 보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