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에서 한 청년이 취업 준비 학원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311/art_17417575065266_20c118.jpg)
【 청년일보 】 청년층 고용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2월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감소하고 고용률도 하락했으며, '쉬었음' 인구는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기업들의 채용 감소와 경기 침체 등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17만9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만6천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 1월(13만5천명)에 이어 두 달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7만4천명)과 건설업(-16만7천명)의 취업자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째 감소하고 있으며, 건설업은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9만2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8만명), 정보통신업(6만5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하며 성장세를 유지했다.
이 가운데 청년층 취업자는 전년 대비 22만8천명 감소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4.3%로 1.7%포인트 하락하며 지난 2021년 1월(-2.9%포인트)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50만4천명을 기록하며 지난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청년층 실업자는 5천명 증가하며 실업률은 7.0%를 기록했다.
장주성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기업의 수시·경력직 채용 경향이 확대되고, 구직 기간이 증가하면서 청년층 쉬었음이 증가했다"며 "경기 영향으로 퇴직한 청년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무르는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청년 고용 문제와 관련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을 중심으로 다각도의 지원책을 모색 중이다.
청년 고용 올케어 플랫폼 사업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서 미취업 졸업생을 발굴해 특화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이 점차 늦어지는 상황에서 기존 대학 취업 지원 서비스가 재학생 위주로 운영돼 졸업생이 참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장 과장은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이 정착되고, 효과가 나타나면 청년층 고용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