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환율 하락에 달러 환차손 우려"...서학개미 美증시 이탈 가속화

 

【 청년일보 】 미국 증시의 반등에도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내려서며 달러 약세가 지속되자,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에 투자했던 자금을 회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과 금융정보업체 등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9∼15일) 동안 국내 투자자는 미국 주식을 7억4천992만달러(약 1조440억원) 순매도 결제했다.

 

1주 전(2∼8일) 9천762만달러(1천359억원), 2주 전(4월25일∼5월1일) 4억747만달러(5천674억원) 순매도 결제한 데 이어 3주째 순매도를 지속했으며 매도세는 한층 더 거세졌다.

 

국내 투자자가 최근 한주간 가장 많이 판 미국 주식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SHS ETF'로 4억3천525만달러(6천100억원)를 순매도 결제했으며, 엔비디아(1억5천288만달러·2천143억원), 팔란티어(1억4천83만달러·1천97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 여파로 급락세 보이던 미국 증시는 최근 미중 관세전쟁이 휴전 모드에 들어가면서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지난달 저점 대비 20%가량 반등해 연초 이후 수익률이 플러스(+)로 돌아섰다.

 

급락장에서도 미국 주식 매수를 멈추지 않던 국내 투자자들은 오히려 미국 증시가 반등하자 순매도로 전환했다.

 

이는 무엇보다 미중 관세 협상 타결로 대만달러와 위안화 등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화 가치가 급등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주식 가격이 올라도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 환차손이 발생해 투자수익률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난달 9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 수준인 1,484.10까지 치솟았던 것이, 한달여 만인 지난 16일 주간 거래 종가 기준 1,389.55원으로 6.4% 급락했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무역수지 적자 개선을 위해 아시아 통화의 절상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전망 속에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호정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연초 이후 달러 약세에도 1,420∼1,450원대의 높은 레벨에서 등락하던 원 달러 환율은 지난 5월 5일 대만 달러화와 위안화 등 주요 아시아 통화 가치 급등에 연동해 한때 1,362원까지 급락했다"고 전했다.

 

그는 "수입 업체의 결제 수요, 내국인의 해외 투자 환전 수요 등 달러 실수요뿐 아니라 가수요가 원/달러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지만 방향성 측면에서는 추세 하락으로 전환의 분기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진단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순매도가 뚜렷해진 이달 들어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2조원어치 이상의 주식을 순매도했으며, 기관은 6천억원, 외국인은 1조3천억원 순매수했다.

 

이런 가운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마땅한 투자처를 정하지 못한 대기성 자금의 피신처인 머니마켓펀드(MMF) 잔고는 꾸준히 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는 15일 현재 MMF 설정액은 230조319억원으로 사상 처음 230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증시 대기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은 15일 기준 56조5천186억원으로 한주 전(56조4천364억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7조8천53억원으로 일주일 전(17조5천153억원) 대비 2천900억원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