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거리 식당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0/art_17532278272401_13ce1d.jpg)
【 청년일보 】 지난해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청소년 가운데 가장 많은 이들이 일한 장소는 음식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단지 배포나 편의점 등 전통적인 일자리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청소년 근로 실태 및 권리보장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근로 경험이 있는 청소년 915명 중 39.3%가 음식점에서 일했다고 답했다. 이는 뷔페·웨딩홀(13.6%), 카페·베이커리(7.2%)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음식점 아르바이트는 2014년 같은 조사에서도 3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한 바 있다. 다만 10년 사이 청소년 아르바이트 업종에는 뚜렷한 변화도 관찰됐다.
2014년 당시 두 번째로 비중이 높았던 전단지 배포(22.4%)는 지난해 2.3%로 급감했다. 편의점도 같은 기간 9.3%에서 4.1%로 줄었다. 반면, 플랫폼 기반 아르바이트(5.8%), 배달(3.3%), 콘텐츠 크리에이터(3.3%)는 새로운 선택지로 떠올랐다.
이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디지털 생태계 변화가 청소년 노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근로 경험 자체는 감소했다. 일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4년 25.1%에서 지난해 17.5%로 7.6%포인트 줄었다.
근로계약서 작성 비율은 같은 기간 25.5%에서 57.7%로 크게 상승하며 권리 인식 개선이 확인됐다.
그러나 부당행위 경험은 여전히 존재했다. 지난해 임금을 적게 받거나 받지 못한 사례는 12.8%, 초과근무 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한 경우는 13.8%로 나타났다.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 비율은 15.5%로,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업무 외 일을 억지로 했다’는 응답은 10년 전과 동일한 16.1%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