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안전문화 지도사의 강의를 경청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사진=한화 건설부문]](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2908788858_0cc0fb.jpg)
【 청년일보 】 한화 건설부문이 언어 장벽과 안전교육 부족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 맞춤형 안전보건 교육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5일 한화포레나 천안아산역 공사현장에서 진행된 '외국인 근로자 맞춤형 안전보건 교육'에서는 현장 대면 교육과 함께 전 현장을 대상으로 한 화상 교육도 병행했다.
현재 건설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현실을 반영해 한화 건설부문은 올해부터 한국창직역량개발원과 협력, 외국인 안전문화 지도사를 초빙해 맞춤형 안전교육을 정례화했다.
이번 교육은 중국, 베트남, 태국 국적별로 나눠 진행됐으며, 각 국가 출신 안전문화 지도사가 직접 교육을 맡았다.
때문에 기존의 통역을 거치는 방식보다 친밀도와 몰입도가 높아졌고, 안전 전문 지식도 더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는 평가다.
또한 한화 건설부문은 국적별 '안전보건 리더'를 선발해 교육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분기별 현장 포상,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료 및 합격 포상 등을 제공해 적극적인 안전활동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3대 사고 유형(떨어짐, 맞음, 부딪힘)에 대한 대표적인 픽토그램. [사진=한화 건설부문]](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2908797757_6a3b9b.jpg)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3대 사고 유형(떨어짐, 맞음, 부딪힘)에 대해서는 '픽토그램'을 제작, 부착해 시각적 위험 인지를 돕고 있다. 이번 교육에서도 픽토그램을 활용해 교육 효과를 높였다.
아울러 자체 HS2E 모바일 프로그램을 활용한 '근로자 안전신문고'도 운영 중이다.
안전모와 현수막에 QR코드를 부착해 근로자가 10개 국어 중 모국어로 위험 사항을 신고할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근로자에게는 포상을 제공해 자발적인 참여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김윤해 안전환경경영실장은 "건설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비율이 늘고 있어 안전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언어 소통 문제와 안전의식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