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7579371879_84869c.jpg)
【 청년일보 】 외국인의 국내 상장주식 보유 규모가 전체 시가총액의 30%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전날 장 마감 기준으로 외국인의 국내 상장사 주식보유액은 총 1천19조7천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코넥스 3개 시장 전체 시가총액(3천315조7천288억원)의 30.75%에 해당하는 규모다.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주식 보유량이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9월 13일(30.08%) 이후 1년간 30%선 아래를 맴돌았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4월까지 거의 1년간 순매도로 일관하며 한국 주식을 대거 팔아치웠던 까닭이다.
이로 인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보유 국내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3월 초 한 때 28.23%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외국인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둔 지난 5월부터 '사자'로 전환, 현재까지 5개월째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9월 들어서는 반도체와 대형주를 중심으로 약 7조원의 매수 우위를 기록 중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29.46%였던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보유 국내주식 비중은 지난 15일 30.07%로 1년 만에 처음 30%선을 넘어섰고, 이후에도 꾸준한 확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증권가 전문가들은 반도체 등 특정 업종에 매수가 편중되는 등 일부 우려 요인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순매수가 앞으로도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올 초까지) 워낙 많이 팔았던 까닭에 (국내시장의 외국인 보유주식 비중) 현 수준은 대략 10년 평균으로 회귀한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외국인 수급 유입에 따라 국내 시총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진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