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건설업 침체 '발목'…지역경제 성장률 2분기 연속 0%대

반도체 수출 회복에 제조업·서비스업은 개선세…대경·호남권 건설업 두 자릿수 감소

 

【 청년일보 】 국내 지역경제가 건설업 불황의 여파로 2분기 연속 0%대 성장률에 머물렀다.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회복세를 보였으나, 건설업의 두 자릿수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체 성장을 제약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지역경제 성장률은 0.4%로 집계됐다. 전분기(0.1%)보다 소폭 개선됐으나 두 분기 연속 1%를 밑돌며 부진이 지속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1.6%)과 대경권(0.1%)에서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지만, 호남권(-2.0%), 동남권(-1.0%), 충청권(-0.4%)은 역성장했다.

 

건설업 GRDP는 전년 동기 대비 10.8% 줄어들며 1분기(-12.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이는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이다.

 

건설업 부진은 2024년 2분기부터 5개 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으며, 올해 들어서는 두 자릿수 역성장이 고착화되는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대경권(-18.5%), 호남권(-15.6%)의 감소폭이 가장 두드러졌고, 수도권(-9.5%), 동남권(-8.1%), 충청권(-8.0%)도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대구(-20.3%), 전남(-18.1%), 경북(-17.5%), 제주(-17.2%), 광주(-15.3%), 세종(-15.2%)이 큰 타격을 입었다. 반면 부산(-3.1%), 서울(-3.7%), 인천(-5.9%) 등은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낮았다.

 

광업·제조업 GRDP는 전분기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2분기 성장률은 2.0%로, 1분기(0.4%)를 크게 웃돌았다. 메모리 반도체 수출 증가가 견인한 결과로, 수도권(4.5%), 대경권(4.4%)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동남권(-1.7%), 호남권(-1.5%)은 여전히 부진했다.

 

서비스업은 전기 대비 1.2% 성장하며 직전 분기(0.6%)의 두 배 수준으로 개선됐다. 특히 도·소매업이 2023년 2분기 이후 8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0.6%)한 것이 눈에 띈다.

 

수도권(1.8%), 충청권(1.2%), 동남권(1.0%)은 금융·보험, 공공행정, 보건·복지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 생산이 늘었지만, 대경권(-0.3%)과 호남권(-0.2%)은 부동산·사업서비스업 위축으로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