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3분기 한국 수출이 반도체 호황을 앞세워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대미(對美) 수출은 3분기 연속 감소하며 수출 구조의 양극화 우려도 제기된다.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에 따르면 3분기 수출액은 1천850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2010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다. 직전 분기(2.1%)에 이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3분기까지는 한미 관세 협상이 끝나지 않아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었지만, 반도체 수출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고 밝혔다.
재화 성질별로는 반도체가 포함된 자본재 수출이 1천110억달러로 11.2% 늘며 역대 최대 규모를 찍었다. 자동차 비중이 큰 소비재는 239억달러(4.9%↑)로 4분기 만에 증가세로 반등했다. 미국·중국 수요는 둔화했으나 유럽 전기차 수출, CIS 중고차 수출 확대가 기여했다.
반면 원자재 수출은 화학·철강·섬유를 중심으로 1.9% 감소한 500억달러에 그쳤다.
수출 기업 수는 6만9천808개로 전년 대비 4.5% 늘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수출액이 1천223억달러로 5.1% 증가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도체 수출 증가가 핵심 요인이다.
중견기업도 반도체 장비·부품과 원자재·소비재가 고르게 늘며 323억달러(7.0%↑)로 역대 최대 실적을 썼다. 중소기업 역시 소비재·원자재 중심 확대에 힘입어 298억달러(11.9%↑)를 기록, 3분기 기준 최고치다.
대기업·중견기업은 2분기 연속, 중소기업은 7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상위 10대 기업의 수출 비중은 40.0%로 1년 새 2.6%포인트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상위 100대 기업 비중은 67.6%로 소폭 하락했다.
수출 전체는 증가했지만 대미 수출은 293억달러로 3.9% 줄었다. 2023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300억달러 아래로 내려가며 3분기 연속 감소세다.
한편, 3분기 수입액은 1천624억달러로 1년 전보다 1.5% 늘었다. 수입액은 대기업(-0.9%)에서는 줄었지만 중견기업(4.6%), 중소기업(8.5%)에서는 늘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