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외환당국과 국민연금 등이 참여하는 '4자 협의체'가 공식 가동되면서 고공행진 중인 환율 안정화 논의가 본격화됐다. 원·달러 환율이 1천470원대를 넘어서자 정부는 국민연금과의 공조 체제를 강화하며 시장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기재부·보건복지부·한국은행·국민연금이 해외투자 확대 과정에서의 외환시장 영향 등을 점검하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는 구윤철 부총리가 지난 14일 한은 총재 등과 긴급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국민연금 등 주요 수급 주체와 긴밀히 논의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후속 조치다.
정부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달러 수요가 구조적으로 환율 상승 압력을 높인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협의체에는 외환정책 주무 부처뿐 아니라 국민연금과 복지부까지 포함되며, 자본시장의 '큰손'을 외환안정 정책 카드로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첫 회의에서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가 외환시장 수급에 미치는 영향과 변동성을 줄이는 방안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의 전략적 환헤지 확대 ▲한국은행과의 외환스와프 연장 등이 실질적 검토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국민연금을 환율 안정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대한 우려도 상존한다. 환헤지 확대는 단기적으로 외환시장 안정에 기여할 수 있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연금 수익성을 저해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이날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지키기 위해 시장 분석에 기반한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정부가 '수익성'과 '외환안정'이라는 두 축 사이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을지, 그리고 국민노후자산을 활용하는 정책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