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공장을 통해 중소 제조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서 스마트공장을 만들면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지금까지는 정부가 중소기업에 지원하거나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원하는 2가지 모델만 있었는데, 여기에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형 모델 구축비용도 정부:대기업:중소기업=30%:30%:40%로 지원키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2022년 3곳 중 1곳이 스마트공장으로, 질 좋은 일자리 7만5000여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광화문 KT빌딩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정부 중심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의 민간과 정부 주도 구축 비율은 올해는 30% 대 70%이지만, 2022년까지 50% 대 50%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도 도입한다. 이럴 경우 재원 부담 비율은 정부가 30%, 대기업이 30%, 중소기업이 40%다.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공장의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돕기로 했다.
2022년까지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5만명에게 실시하고,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과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확대키로 했다.
아울러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과 AI·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업종별·지역별 시범공장을 올해 6개에서 2022년까지 50개로 늘리고 대표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의 벤치마킹을 유도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도 구축해 공동 활용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을 이미 구축한 기업들을 위한 전용사업을 올해 142억 규모로 신설하는 등 고도화에 힘쓰기로 했다.
스마트공장 기술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기업 육성과 해외진출 지원을 위해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들이 ‘스마트공장 얼라이언스’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된다는 목표 하에 정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