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연초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전세사기 등의 여파로 인해 빌라 시장에서는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모습이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를 기록하며 2022년 11월 시세 조사 표본 개편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서울 역시 2023년 4월 50.8%까지 하락했던 아파트 전세가율이 1월 54.1%까지 상승하며 같은 기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러한 전세가율 상승은 금융기관의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해 매매시장이 위축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5% 하락했지만 전셋값은 2.07% 상승하며 10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매매가격이 3.11% 올랐지만 전셋값 상승폭은 6.18%로 2배가량 높았다. 반면, 연립주택(빌라)의 전세가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과 서울의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각각 69.8%, 70.1%를 기록하며 표본 개편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는 전세사기 여파로 인한 전세 수요 감소와 전셋값 하락이 영향을 미
【 청년일보 】 국내 기업들의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이 최근 1조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지난 1965년 현대건설의 첫 해외 수주 이후 59년만에 이룬 쾌거다. 해외건설 수주 1조달러 돌파를 기념해 그동안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 건설한 주요 시설들을 되짚어봤다. 1일 국토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은 지난해 12월 1조달러(한화 약 1천468조원)를 돌파했다. 우리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1호 사업은 현대건설이 태국에 시공한 '파타니-나라티왓 고속도로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총 연장 98km에 2차선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5백만달러이다. 지난 1966년 1월부터 1968년 2월까지 약 2년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됐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현대건설이 태국에 건설한 고속도로 사업은 오늘날의 대규모 해외 건설 수주의 초석이 된 프로젝트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이후 해외 고속도로 사업은 해외수주의 주요 프로젝트로 자리잡았다. 지난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삼환기업이 사우디에 건설한 고속도로도 이러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총 연장 175km에 왕복 2차선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수주액은 2천만달러에
【 청년일보 】 지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피스 임대 수요가 증가하면서 임대료가 상승한 반면, 상가는 오프라인 매출 감소로 인해 임대료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해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이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심업무지구에서 임차 수요가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의 경우 강남업무지구(GBD)와 신흥업무지구인 용산역을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증가하며 임대가격지수가 4.78% 상승했다. 이는 전국 오피스 임대가격지수 상승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 외 지역에서는 경기(2.60%), 대구(0.53%), 대전(0.19%) 등에서 상승세를 보였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오피스 시장과는 달리 상가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 속에서 임대가격지수가 하락했다. 중대형상가(-0.16%), 소규모상가(-0.50%), 집합상가(-0.44%)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다만 서울에서는 뚝섬과 용산역 등 인기 상권의 영향으로 중대형상가(1.59%), 소규모상가(2.00%), 집합상가(1.00%)의 임대가격지수가 상승했다. 반면 경기(중대형
【 청년일보 】 롯데건설이 서울시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가 내달 3일 무순위 청약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롯데건설은 지난 1월 24일 무순위 청약관련 공고문을 공고했다. 상세 일정은 내달 3일 청약을 받고, 6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이후 계약은 2월 8일 진행된다. 이번 무순위 청약은 부적격세대 또는 중복청약 등의 사유로 발생한 84㎡ 타입 잔여 45세대다. 청약 접수는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진행되며, 거주 지역에 상관 없이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청약 통장 없이 청약이 가능하다. 단, 청약 신청은 1인 1건만 가능하며, 2건 이상 청약 시 모두 무효 처리된다.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무순위 청약에는 수요층의 대거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심업무지구로의 뛰어난 직주근접성을 갖춘 입지로 인기를 이어간 가운데, 3~4인 가구 가족단위 수요층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 타입의 물량이 풀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가 무순위 청약 제도를 빠르면 2월부터 무주택자나 해당지역 거주자만 청약할 수 있도록 변경하는 법안을 발표하기로 밝히면서, 유주택자의 경우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 이
【 청년일보 】 지난해 실적발표에서 어닝쇼크를 겪은 현대건설에 대해 증권가에서는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평가와 함께 목표가 상승이 잇따르고 있다. 현대건설 역시 올해 수익성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꼽으며 신성장동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전략이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다수의 증권사들이 지난해 어닝쇼크를 기록한 현대건설의 실적발표 직후 목표가를 상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지난 22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손실 1조2천209억원을 기록해, 전년(영업이익 7천854억원) 대비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이같은 대규모 영업손실은 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상승 기조와 함께 연결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이 해외 프로젝트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한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19∼2020년 인도네시아에서 연이어 수주한 발릭파판 정유공장 프로젝트와 2021년 현대건설과 공동 수주한 사우디 자푸라 가스플랜트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증권가 일각에선 이러한 손실을 지난해 실적에 반영하면서, 올해에는 턴어라운드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현대건설의 실적발표 이후 NH투자증권은
【 청년일보 】 지난해 서울 부동산 시장을 관통한 주요 트렌드는 '양극화'였다. 초고가 아파트 거래가 강남권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비강남권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보이며 지역별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됐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천800만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24억8천300만원)와 용산구(22억5천700만원)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에서 평균 실거래가가 가장 낮은 도봉구는 5억5천400만원으로, 서초구와 약 4.6배의 차이를 보였다.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억1천만원), 금천구(6억2천100만원) 등도 평균 10억 원 이하의 실거래가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강남·서초·용산구의 경우, 지난해 8월 아파트 가격이 정점을 찍은 이후에도 꾸준히 높은 가격을 유지하며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의 경우 지난해 1월 21억3천600만원에서 8월 27억2천500만원까지 상승한 후
【 청년일보 】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이 폐업 신고를 한 건수가 641건으로 19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는 전년보다 60건(10.3%) 증가한 6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치다. 폐업 신고는 2021년 305건에서 2022년 362건으로 증가한 후, 2023년(581건)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반면 작년에 새로 등록된 종합건설기업은 가장 최근 집계인 지난해 10월 기준 1만9천242곳으로, 전년 말(1만9천516곳)보다 274곳(-1.4%) 줄었다. 부문별로 건축업(1만493곳)이 전년 말보다 225곳(-2.1%) 감소했다. 토건(3천44)은 38곳(-1.2%), 토목(5천222곳)은 21곳(-0.4%)이 줄었다. 폐업한 기업은 늘고 새로 등록한 기업이 줄어든 것은 건설 경기가 좋지 않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건설 투자는 줄고 건설업 취업자 수는 감소 추세다. 건설 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액은 지난해 11월 13조9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축소됐다. 지난해 6월 15조7천억원이었던 건설기성액은 7월 13
【 청년일보 】 지난해 서울에서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가 크게 늘었다. 100억원 이상 거래는 1년 새 5건에서 22건으로 4배 증가했다. 2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3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모두 2천305건(거래 해제건 제외) 이었다. 이는 2023년의 875건보다 2.6배 늘어난 것이다.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는 강남구와 서초구에 집중됐다. 강남구 거래가 928건으로 40.3%를 차지했고, 서초구 거래는 833건으로 36.1%였다. 강남·서초구 거래가 합쳐서 76.4%다. 용산구(191건), 송파구(142건), 영등포구(113건), 성동구(50건), 양천구(31건)가 뒤를 이었다. 작년에는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22건 이뤄졌다. 초고가 거래는 용산구에서 9건 있었고 강남구 6건, 성동구 5건, 서초구 2건이었다. '최고가'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7월 전용면적 273.4㎡가 220억원에 거래됐다. 2위 거래 역시 나인원한남으로 6월 273.9㎡가 200억원에 거래되며 '200억원 아파트 시대'를 알렸다. 3위는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234.9㎡(180억원), 4위
【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지난해 크게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건축비가 상승하며 분양가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는 4천408만9천원으로 전년(3천500만8천원) 대비 25.9%(908만1천원) 상승했다. 이는 HUG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2015년 서울의 평당 분양가는 1천997만원이었으나 2016년 2천129만9천원(전년 대비 6.7%↑), 2017년 2천216만9천원(4.1%↑), 2018년 2천445만6천원(10.3%↑)으로 올랐다. 이어 2019년 2천629만8천원(7.5%↑), 2020년 2천831만7천원(7.7%↑), 2021년 3천300만2천원(16.5%↑), 2022년 2천983만1천원(9.6%↓), 2023년 3천500만8천원(17.4%↑) 등으로 2022년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2023년과 지난해의 상승률이 더 가팔랐다. 지난해 수도권의 평당 분양가는 2천813만6천원으로 전년 대비 15.4% 상승했다.
【 청년일보 】 서울 지역 빌라(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비(非)아파트 시장의 회복세로 매매·전세가격이 동반 상승하고 있으나, 매매가격의 상승 폭이 더 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빌라 전세가율은 평균 65.4%로, 전년 동월 대비 3.1%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2년 12월 78.6%까지 높아졌다가 2023년 12월 68.5%로 떨어졌다. 전세가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전셋값을 다 떼일 위험이 다소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집주인이 집을 매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깡통전세'로 분류된다. 특히 전세사기 사례에서는 전세금이 매매가를 초과하는 경우도 많다. 2022년 중반까지 72%였던 서울 빌라 전세가율은 2023년 하반기부터 가파르게 하락하며 지난해 10월에는 64.5%를 기록,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빌라 전세가율 하락의 주요 배경으로는 매매가격 상승 폭이 더 큰 점이 꼽힌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
【 청년일보 】 부동산 시장 관망세에 최장 9일에 이르는 긴 연휴가 겹치면서 이달 수도권 분양 물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분양 물량도 전년 동월 대비 30% 가까이 줄었다. 27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올해 1월 수도권 분양 물량은 584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88.3% 급감했다. 이는 2016년 1월(262가구) 이후 1월 분양 물량으로는 가장 적은 규모다. 연도별 1월 분양 물량을 보면 2017년 2천49가구, 2019년 3천819가구, 2019년 9천164가구, 2020년 3천820가구 등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냈으며 2021년에는 1월 한달간 분양한 물량이 1만5천208가구에 달했다. 2022년은 6천335가구, 2023년 1천191가구, 지난해는 5천1가구가 각각 수도권에 공급됐다. 최근 10년간 수도권의 1월 공급 규모가 1천가구 밑으로 떨어진 것 또한 2016년 1월 이후 처음이다. 나아가 올 1월에는 전국 분양물량도 6천143가구로 전년 동월(8천608가구) 대비 2천가구 이상 줄었다. 2021년 1월(2만2천221가구)이나 2022년 1월(2만2천375가구)에 비하면 거의 4분의 1 수준이다. 대출 규제와
【 청년일보 】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천8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보다 5.5% 감소했다고 지난 24일 공시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총 4조2천562억원으로 1.6%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1천557억원으로 9.9% 줄었다. 아울러 4분기 기준으로 영업이익은 418억원으로 46.1% 감소했다. 이 기간 매출은 2.1% 감소한 1조1천250억원, 순이익은 18.2% 하락한 452억원으로 나타났다. HDC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현금성 자산의 1조 원 회복과 더불어 신용등급 상승 등 재무 안정성을 높였다"며 "올해는 서울원 아이파크를 비롯한 대규모 복합개발사업의 본격화로 견조한 실적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