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1월 취업자 41만1천명...증가 폭 8개월째 둔화

취업자 증가분 97%가 60세 이상
제조업은 15개월만에 감소 전환

 

【 청년일보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취업자가 1년 전보다 41만1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규모는 8개월째 줄어 22개월 만에 최소 수준으로 떨어졌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36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1만1천명 늘었다. 이는 2021년 3월(31만4천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취업자 증가분 97%가 60세 이상...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 7개월째 감소

 

연령별로 보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대부분인 97.3%가 60세 이상(40만명)이었다.

 

30대와 50대는 각각 1만7천명, 10만7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20대 이하와 40대는 각각 5만1천명, 6만3천명 감소했다.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는 작년 11월부터 3개월 연속, 40대 취업자는 7개월 연속 줄었다.

 

청년층(15∼29세)과 40대 취업자가 줄어든 데에는 인구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청년층 고용률은 46.1%, 40대 고용률은 77.4%로 각각 1년 전보다 0.4%포인트(p), 0.2%포인트 상승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3%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올랐다. 이는 1982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1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15∼64세 고용률도 0.8%포인트 상승한 67.8%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동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증가 주도...제조업 취업자는 3만5천명 감소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21만4천명)과 보건·사회복지업(22만명)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금융·보험업에서도 1만6천명 늘어 2021년 12월(2만5천명) 이후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3만5천명 줄어 2021년 10월(-1만3천명) 이후 15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수출 부진 등 경기 위축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양상이다.

 

도소매업(-6만1천명)과 건설업(-3만9천명), 운수창고업(-5만1천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취업 시간별로는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가 12만8천명 감소했다.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47만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3.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내렸다. 2014년 1월(3.4%) 이후 동월 기준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13만9천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육아(18만1천명)와 재학·수강 등(7만5천명)에서 줄었으나, 가사(8만6천명), '쉬었음'(8만4천명) 등에서는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38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명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달에는 보건·사회복지업과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했지만, 제조업 취업자 수가 감소로 전환하면서 취업자 증가 폭이 둔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달 실내마스크 의무 조치에 대한 조정 등 일상 회복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이 있지만, 기저효과와 함께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