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여·수신 줄이고 리스크 관리 치중"...연말 '개점휴업' 하는 저축은행들

조달금리 상승에 연말 저축은행권 여·수신 모두 중단
연체율 상승에 리스크 관리 압박 고조...비상경영 돌입
업계 "비상경영체제 내년 1분기까지 계속될 것" 전망

 

【 청년일보 】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 여파로 불황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들이 수신과 여신을 모두 줄이는 등 사실상 개점휴업에 돌입했다.

 

수신의 경우 정기예금 등에서 4.00%~4.50%의 금리를 보장하고 있지만 은행권과 큰 차이가 없어 금리경쟁력이 크게 떨어져 자금이탈이 이어지다. 여신 역시 조달비용이 상승하면서 역마진을 우려한 저축은행들이 대출에 빗장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최근 급격한 연체율 상승으로 저축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돌입하면서 대출심사 자체가 깐깐해진 것 역시 여신 하락에 한 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수신(말잔)은 115조2천311억원으로 전월 대비(117조8천504억원) 대비 2조6천193억원이 줄었다. 1년 전에 비해서는 10조원 이상 감소했다.

 

자금조달을 정기예금 등 수신으로만 충당하는 저축은행은 통상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은행보다 최소 0.5%포인트(p)~1.0%포인트 높은 수신금리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10월 무렵 4%를 넘어섰지만, 저축은행들은 별다른 대응에 나서지 않았다.

 

더욱이 최근 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3%대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4% 수준의 저축은행 정기예금과의 금리격차는 0.3%p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해 은행과의 금리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6%가 넘는 고금리 예금상품을 판매한 것이 올해 엄청난 조달금리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게 저축은행권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급격히 올린 수신금리가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며 "이로 인해 고객이탈이 계속되지만 저축은행들이 섣불리 금리인상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저축은행권의 여신 상황 역시 수신과 크게 다르지 않다.

 

같은 기간 여신 잔액은 총 107조38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1조1천360억원이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10월 말과 비교해서는 무려 9조3천800억원이 빠졌다.

 

이는 수신금리가 오를수록 저축은행들이 지출해야 하는 비용이 크게 늘어나지만, 대출은 법정 최고금리(20%)에 가로막혀 금리인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저축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하면서 대출을 실행할 필요가 없게 된 셈이다. 

 

한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더라도 여신영업이 활성화된다면 대출을 통한 수익개선이 가능하지만, 법정 최고금리 영향으로 대출을 하더라도 이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한 급증하고 있는 연체율과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우려 역시 저축은행권 여신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 3분기 말 저축은행권의 연체율은 6.15%로 전분기(5.33%) 대비 무려 0.82%p 올랐다.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6.40%로 전 분기 대비 0.79%p 올랐다.

 

더 큰 문제는 부동산PF 연체율이다.

 

부동산 시장의 장기 침체로 건설업계에 대출한 자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연체율이 크게 올랐다. 실제로 대형 저축은행 5개사(SBI·OK·웰컴·페퍼·한국투자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은 평균 6.92%로 지난해 동기(2.40%)보다 4.52%p가 뛰었다. 

 

다른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으로 리스크 관리 압박을 받는 저축은행들이 대출을 줄일 수밖에 없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며 "따라서 여·수신 영업을 줄이고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는 비상경영체제는 최소한 내년 1분기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