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의 청년 점포가 정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며 한창 관심을 끌던 초기 이후로 맥을 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지속된 성과 부진과 관리 방치 등이 지적되자 정부와 지자체도 관망에서 벗어나 청년 점포에 힘을 불어넣기 위해 팔을 걷어부치고 있다. 청년 점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중장기적 차원의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전통시장 고령화 심각"...'청년몰' 유치로 시장 활성화 추진
(中) 전통시장 청년 점포, 초기에만 '반짝'..."체계적·중장기적 지원 필요"
(下) 사라지는 전통시장 청년몰...대안은 '승계 지원'
【 청년일보 】 전통시장의 침체가 심화되는 가운데 이를 살리기 위해 추진된 '청년몰'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청년 창업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했지만, 당초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업과 빈 점포 증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5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전통시장·상점가 점포 경영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3년 전통시장에서 60대 이상 상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33.3%였으나 2022년에는 57.6%로 증가했다.
반면, 39세 이하 청년 상인의 비중은 6.9%에서 4.2%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평균 연령은 55.2세에서 60.2세로 높아졌다.
이는 전통시장의 고령화가 계속 심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청년 상인들의 발길이 끊기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시장의 침체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전통시장에 청년 상인들을 진입시키며 전통시장 활성화를 시도했다. 2016년부터는 빈 점포를 활용해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청년몰 조성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청년몰 조성 지원사업에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602억원, 2019년부터 2024년까지 206억6천만원이 투입됐다. 약 10년 동안 청년몰 지원을 위해 총 808억6천만원의 국비가 사용된 것이다.
하지만 8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청년몰을 조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존율은 절반에 그치고 있다.
고령화된 전통시장은 새로운 활력을 얻지 못했고, 청년 상인들도 지속 가능한 생존 기반을 마련하지 못했다. 단순히 청년상인을 유치해 빈 점포를 채우는 것만으로는 전통시장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것이다.
청년 상인 창업의 또 다른 사례로 추진된 인천 미추홀구의 ‘청년특화거리’ 역시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상권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이 거리는 초기에는 청년들의 관심을 끌었으나, 운영의 어려움과 기존 상권과의 충돌로 많은 점포가 문을 닫았다.
미추홀구의 한 상인은 "이미 발길이 끊긴 시장에 청년 상인들을 무리하게 입점시키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들이 자리를 잡을 수 없었던 이유는 시장 자체가 이미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그 안에 들어간 청년 상인들이 자생력을 기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존 상인들과 협력할 수 있는 지원 방식이 있었다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전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존 상인들의 상권을 승계하는 방안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순 창업 지원에서 벗어나, 가업 승계를 통해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전통시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상권 승계는 단순한 공간의 물려줌을 넘어, 기존의 노하우와 고객층을 이어받아 청년 상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 상인 지원방안' 보고서에서 박충렬 입법조사관은 전통시장의 고령화와 빈 점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창업뿐만 아니라 가업 승계를 통한 점포 승계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국회입법조사처는 청년 상인 지원방안으로 ▲민간 투자 청년 우선 지원 ▲가업승계·점포승계 지원 ▲맞춤형 업종 선정 ▲기존 상인조직과 협력 ▲지속적 정착 지원 등을 제안했다.
특히 민간 전문가로부터 1차 검증을 받은 청년을 우선 지원하면 창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친족이나 제3자가 운영하는 점포를 청년이 승계하는 경우에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면, 승계자를 찾지 못해 폐업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청년 상인은 "가업 승계가 활성화된다면 점포 폐업으로 인한 공실 문제를 완화하고, 시장 전체의 활력을 제고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승계 과정에서 세제 혜택이나 운영 자금 지원 등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