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카카오와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방침을 밝히며 AI 기술 협력을 본격화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4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공동 간담회를 열고, 카카오 서비스 내 오픈AI 기술 적용 및 공동 제품 개발을 포함한 협력 방안을 공개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는 최고 수준의 AI 기술을 확보하며, AI 시대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최적의 파트너와 협력하고자 한다"며 "이번 전략적 제휴를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챗GPT 기술을 카카오톡과 카나나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예정이며, 이번 파트너십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5천만명의 카카오 사용자들을 위한 공동 제품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오픈AI가 한국 기업과 체결한 첫 전략적 제휴로, AI 서비스 대중화를 목표로 지난해 9월부터 양사가 긴밀한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AI 네이티브 컴퍼니(AI native company)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챗GPT 엔터프라이즈도 활용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그간 독자적인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보다는 다양한 AI 모델을 필요에 맞게 조합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추구해왔다. 이번 협력을 통해 해당 전략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AI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최적화해 적용할 방침이다.
카카오와 오픈AI는 공동 제품 개발을 통해 한국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한국 이용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으며, 오픈AI는 글로벌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양사의 협업이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한국은 AI 채택률이 높은 국가로, 에너지·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강력한 AI 기술 적용이 가능하다"며 "카카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 혁신적인 AI 제품을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AI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만큼, 카카오와 협력해 다양한 공동 제품을 선보이고 과학적 발견도 함께 해나가고 싶다"며 오픈AI의 한국 시장 공략 의지를 드러냈다.
오픈AI의 한국 지사 설립 가능성에 대해 올트먼 CEO는 "구체적인 일정은 발표할 수 없지만, 한국은 AI 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장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 AI 컴퓨팅센터 참여 가능성에 대해 "현재 발표할 내용은 없지만, 해당 부분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이와 함께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함께 설립한 합작사 '스타게이트'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선 "기여할 수 있는 한국 기업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발표할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양사는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AI 서비스 라인업을 론칭할 예정이며, 공동 개발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카카오는 오픈AI에 거꾸로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적극적인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양사의 투자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밝히기는 어렵지만,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재무적 자본뿐만 아니라 공동 개발 인력 투자도 병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