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5/art_17441565906648_76ed7b.jpg)
【 청년일보 】 정부가 2조원의 정책금융을 추가로 투입한다. 미국 관세 조치로 인한 자동차·부품업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또한 전기차 보조금 확대, 개별소비세 감면, 공공 업무차량 조기 구매 등 지원책도 시행한다.
정부는 9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3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다음달 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적용한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 규모는 708억달러로 절반에 달하는 49%(347억달러)가 대미 수출에 해당한다.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 규모도 82억달러에 달한다.
민간 전문기관들은 자동차산업이 미국의 25% 관세를 맞게 되면서 대미 수출은 약 65억달러 감소하고, 완성차업계의 영업이익이 10조원 안팎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먼저 미국의 관세 부과로 경영 위기에 몰린 자동차산업에 2조원의 긴급 정책금융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 자동차 분야의 정책금융은 13조원에서 15조원으로 확대된다. 추후 소진율과 관세 파급에 따른 기업 수요 변화 등에 따라 추가 공급 여부를 검토한다.
이 같은 정부 지원에 호응해 현대차·기아도 금융권·정책금융 기관과 함께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조성, 협력사의 대출·보증·회사채 발행을 지원한다.
기초 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도 확대한다. 관세 피해기업에 법인·부가·소득세 납부 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하고 1년간 관세를 유예해 조세부담 완화도 적극 지원한다.
최신 관세 부과 정보에 대한 중소 부품 기업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관세대응 119’(코트라)와 ‘애로신고센터’(전국 중소기업청)를 운영하고, 전국 릴레이 상담회를 통해 부품 기업들의 관세 대응 역량 제고에 나선다.
【 청년일보=선호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