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9.3℃
  • 구름많음강릉 21.1℃
  • 구름많음서울 19.3℃
  • 구름많음대전 22.5℃
  • 구름조금대구 20.3℃
  • 맑음울산 18.8℃
  • 구름많음광주 23.5℃
  • 구름많음부산 16.7℃
  • 구름많음고창 22.2℃
  • 흐림제주 24.6℃
  • 구름많음강화 17.6℃
  • 구름많음보은 21.4℃
  • 구름조금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2.3℃
  • 구름조금경주시 22.7℃
  • 구름많음거제 18.6℃
기상청 제공

'지브리' 열풍 지속…챗GPT, 주간 신규 다운로드 1위

'지브리 밈' 신드롬에 이미지 생성 기능 인기 급증…앱 시장 '들썩'
챗GPT, 국내 MAU 첫 500만 돌파…사용자 몰리며 서버 과부하도

 

【 청년일보 】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변환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면서, 오픈AI의 챗GPT가 국내 모바일 앱 시장에서 전례 없는 주목을 받고 있다.

 

15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올해 3월 31일부터 4월 6일까지 일주일간 챗GPT의 신규 설치 수는 총 272만7천599건으로, 전체 모바일 앱 가운데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했다.

 

이전 2주간 1위를 유지하던 네이버의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는 같은 기간 68만2천31건으로 2위에 머물렀다.

 

챗GPT는 사용자 수 증가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해당 기간 동안 주간 활성 이용자 수는 343만955명으로, 전주 대비 110.05% 증가하며 급상승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인기는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새롭게 선보인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이 주도하고 있다. 이 기능은 멀티모달 AI 모델 GPT-4o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자연스럽게 파악해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해준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지브리 스튜디오'의 화풍을 구현한 이미지 변환이 큰 호응을 얻으며, 온라인을 중심으로 밈(meme)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이나 지인의 사진을 업로드해 지브리, 디즈니, 심슨 가족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꾼 이미지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챗GPT뿐 아니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여러 앱들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해당 이미지 생성 과정이 기존 캐릭터의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며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그만큼 이 기술이 현재 문화 콘텐츠 소비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방증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이용자가 몰려 그래픽 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릴 정도로 서버가 과부하를 일으키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챗GPT의 지난달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509만965명으로, 앱 출시 이래 처음으로 500만명을 돌파했다. 2월에는 386만9천88명이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