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코스피 고공행진에 '금' 외면"…16개월만에 순매도 전환

금 수요 둔화에 수익률도 두 달 넘게 제자리

 

【 청년일보 】 이재명 정부 들어 코스피 지수가 46개월(3년 10개월) 만에 3,200선을 형성하자, 대체 안전자산투자인 금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낮아지고 있다.

 

새 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만 하더라도 개인 투자자들의 금에 대한 수요는 높았지만, 코스피가 3,100~3,200선에서 등락하자 금에 대한 순매도세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코스피가 이른바 '불장'을 보이자, 금 수요가 둔화하면서 두 달 넘게 수익률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이하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지난 1일부터 21일까지 KRX 금시장에서 총 159억원 상당의 금을 순매도했다. 특히 21일에는 하루에만 111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KRX 금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은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 연속 순매수 행보를 이어왔는데 최근에는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작년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개인이 순매수한 금은 1조4천660억원에 이르며, 이에 힘입어 KRX 금시장은 올해 상반기 거래량이 37.3t(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개인 투자자는 지난해 10월 미국 대선을 앞두면서 1천513억원치의 금을 순매수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기 전인 올해 3월에는 한 달 사이 3천288억원을 순매수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로는 4월 436억원, 5월 906억원, 6월 607억원 등으로 순매수 규모가 크게 줄다가 이달 들어 매도 우위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국제 금 시세가 곤두박질 하지 않고,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KRX에 따르면 작년말 온스당 2천600달러대 초반이던 국제 금가격은 올해 4월 22일 기준 온스당 3,487.94달러까지 올랐으나, 이후 소폭 하락했다. 

 

지난 21일 기준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3,369.86달러 수준이다.

 

또한 KRX 금시장의 1kg(킬로그램) 금지금(순도 99.5% 이상의 금괴) 평균 가격도 1g당 15만400원으로 두 달여 전인 4월 말(15만1천800원) 당시와 거의 동일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최진영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가격이 횡보하기 시작한 이유는 지난해 상승을 주도했던 중국의 매수 둔화에서 찾을 수 있다. 주체는 바로 중국 개인 투자자들"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개인투자자들은 올해 상반기 금현물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해 63t에 이르는 금을 매입했는데, 부가가치가 창출되지 않는 금이 개인자금으로 유입되는 모습을 본 중국 정부 당국이 5월부터 단속을 강화하자, 시세 상승에 제동이 걸렸다는 것이다.

 

반면, 위험자산인 주식 시장에는 투자금이 몰려드는 모습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 규모는 지난해말 54조2천427억원에서 이달 18일 기준 65조3천644억원으로 반년여 만에 20.5% 증가했다.

 

같은 기간, 투자자들이 빚을 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지표인 '신용공여 잔고'는 15조8천170억원에서 21조7천479억원으로 37.5% 늘었다.

 


【 청년일보=박제성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