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내 대표 포털 기업 네이버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27일 AI와 웹3 기반 협력을 바탕으로 ‘K-핀테크’의 글로벌 시장 주도에 나선다. 양사는 향후 5년간 총 10조원을 투입해 해외 공략 속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이날 경기 성남 ‘네이버 1784’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진출 청사진과 미래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이는 전날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하는 ‘기업융합’ 안건이 각사 이사회에서 의결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간담회에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송치형 두나무 회장, 김형년 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 최고경영진이 총출동했다.
양측이 제시한 미래 전략의 핵심은 AI와 웹3의 결합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다. 국내 최대 인터넷 플랫폼 네이버, 연간 80조원 규모의 결제 생태계를 보유한 네이버파이낸셜, 블록체인 기술력에서 국내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두나무가 역량을 집결해 세계 시장에서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3사는 이번 기업융합을 기반으로 K-핀테크 경쟁력을 증명하고 글로벌 이용자 기반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의 AI 기술은 웹3와의 시너지를 통해서만 차세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글로벌 디지털 금융 산업의 변화 속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빠른 의사결정과 함께 글로벌 빅테크가 아직 시도하지 않은 혁신적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수연 대표는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과 에이전틱 AI(agentic AI)로 기술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현재 시점이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중요한 모멘텀”이라고 평가하며 기업융합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는 또한 “국내 AI·웹3 기술 생태계를 선도적으로 활성화하겠다”며 향후 5년간 10조원 규모의 생태계 투자 계획을 제시했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AI와 블록체인이 결합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과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형년 부회장은 “대부분의 자산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유통되는 ‘토큰화’가 확산될 것”이라며 “이번 융합을 통해 국경 없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 이사회는 전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 간 포괄적 주식 교환 안건을 의결했다. 합병 완료를 위해서는 정부 심사와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필요하며 주총은 내년 5월 개최될 전망이다. 특별결의를 위해서는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동의가 요구된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