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1.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3.4℃
  • 맑음대전 23.0℃
  • 맑음대구 23.2℃
  • 맑음울산 19.2℃
  • 구름조금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1.4℃
  • 구름조금고창 20.2℃
  • 흐림제주 21.9℃
  • 맑음강화 21.4℃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7℃
  • 구름많음강진군 18.8℃
  • 맑음경주시 19.7℃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2019년 수출 두자릿수 하락세...무역규모는 3년 연속 1조달러 달성

연간 수출 감소에도 불하고 전체 수출 물량은 증가세
전기차・수소차, 바이오헬스・이차전지 등 새로운 수출성장동력 성장
신남방・신북방 지역 기존 주력시장 대체할 새로운 시장 부상

【 청년일보 】 2019년 수출이 10년 만에 두 자릿수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3년 연속 무역액 1조달러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2019년 수출입 동향 및 2020년 수출입 전망' 자료를 통해 지난해 수출이 5천424억1천만달러로 전년보다 10.3%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9년 수출은 5,424.1억달러(-10.3%), 수입은 5,032.3억달러(-6.0%)로 무역수지는 391.9억달러 11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 수출이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9년 -13.9% 이후 10년 만이다.

무역규모 순위는 2013년 이후 7년 연속 9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이다. 

 

[표] 역대 무역 1조 달러 달성 현황(단위: 억달러) 

 

구 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

연간 무역액

10,796

10,675

10,752

10,982

9,633

9,016

10,522

11,401

10,456

 

산업부는 지난해 수출 부진요인을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107억달러, 반도체 하강기(다운사이클)로 328억달러, 유가 하락으로 134억달러의 수출 감소분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체 감소분(625억달러)의 91.0% 달하는 금액이다.

 

전반적으로는 부진했지만, 의미 있는 성과도 있었다.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자동차는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됐고 전기차·수소차,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 신산업은 주력 품목을 대체할 새로운 수출성장동력으로 성장했다.

 

또 전체 수출은 줄었지만, 수출물량은 0.3% 증가했다.

 

20개 주력 품목 중 12개 품목의 물량이 확대됐고 반도체의 경우 수출액은 25.9% 감소했으나 물량은 7.9% 늘었다.

 

신남방·신북방 지역은 미국과 중국 등 주력 시장을 대체할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했다.

 

 

신남방 지역으로의 수출은 사상 최초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돌파했으며 신북방은 3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했다.


수입은 5천32억3천만달러로 6.0% 줄었다.

 

수출과 수입을 더한 총무역액 1조456억달러를 기록해 3년 연속 1조달러 달성했다.

 

수출이 19개월 연속 감소했던 2015년과 2016년은 1조달러를 넘지 못했지만, 올해는 12개월 연속 감소에도 연간 무역액 1조달러를 돌파했다.

 

산업부는 "미중 무역 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홍콩사태 등 어려운 대외 여건과 반도체·석유화학·석유제품의 업황 부진 속에서 달성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역대 무역 1조달러를 달성한 나라는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이며, 3년 연속 1조달러를 달성한 국가는 9개국에 불과하다.

 

무역흑자는 391억9천만달러로 11년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457억2천만달러로 전년 같은 달 대비 5.2% 감소했다.

 

2018년 12월 이후 13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다만 수출 감소 폭은 7개월 만에 한 자릿수로 개선됐으며 올해 두 번째로 작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대(對)중국 수출이 3.3% 증가하며 14개월 만에 플러스로 바뀐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가 하락으로 인해 수출액은 감소했지만, 물량은 0.7% 늘었다.

 

반도체·석유제품의 단가 회복이 지연되고 선박 수출이 줄었으나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에 따른 기대감, 대중 수출 회복, 연말 쇼핑 시즌에 따른 정보기술(IT) 품목의 호조로 수출 감소율이 대폭 개선됐다.

 

수입은 437억달러로 0.7% 하락했다.

 

무역흑자는 20억2천만달러로 95개월 연속 흑자를 냈다.

 

지난달 대일 수출은 5.6%, 수입은 8.2% 감소했다.


일본 수출 규제가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는 제한적인 상황이다.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등 3개 수출규제 품목의 대일 수입액은 3억2천만달러로 7월 1일∼12월 30일 전체 대일 수입액 230억7천만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에 불과하고, 국내 관련 산업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한 사례도 없다.

 

일본이 수출규제를 단행한 이후 7∼11월 간 누계 현황을 보면 한국의 대일 수출은 7.8% 감소했다. 일본의 대한국 수출은 14.6% 줄어 한국보다 감소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올해 1분기에는 한국 수출이 1년여간의 마이너스 행진을 끝내고 플러스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수출의 가장 큰 악재 중 하나였던 미중 무역분쟁이 1단계 합의에 돌입해 15일 서명을 앞두고 있는 데다가 미국·중국·독일의 제조업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세계 경기가 회복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황 개선, 선박·자동차·석유제품 등의 수출 증가도 긍정적인 요소다.

 

정부는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3.0% 증가한 5천600억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분기 중 수출을 조기에 플러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총력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무역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품목·시장·주체 혁신을 추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박광원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