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2 (목)

  • 흐림동두천 26.1℃
  • 흐림강릉 22.6℃
  • 천둥번개서울 26.0℃
  • 흐림대전 30.4℃
  • 흐림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29.5℃
  • 구름많음광주 33.5℃
  • 구름조금부산 32.2℃
  • 구름많음고창 33.9℃
  • 구름조금제주 33.9℃
  • 흐림강화 26.3℃
  • 흐림보은 26.2℃
  • 흐림금산 30.9℃
  • 구름많음강진군 32.5℃
  • 흐림경주시 31.2℃
  • 구름많음거제 30.1℃
기상청 제공

[청년친화강소기업 (下)] 수도권 편중...중기 인식 전환·정보 제공은 과제

청년취업강소기업 70%가 수도권 소재
기업 자발적 정보 제공·정부 홍보 강화

 

 

우리나라 전체 기업 중 중소기업의 수는 지난해 8월 기준 약 728만 개로 전체 기업 수 729만개의 99.9%를 차지한다. 이 같은 양적 확대와 비중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은 높은데 중소기업은 사람을 충원하지 못하는 기업과 청년사이의 미스매칭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일보는 이같은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친화강소기업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청년이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청년과의 동행

(中) 청년을 부르는 사내분위기...조직문화와 워라밸

(下) 수도권 편중...중기 인식 전환·정보 제공은 과제

 

 

【 청년일보 】 지난해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된 앱테스트에이아이 측은 청년일보와의 통화에서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앞으로도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지원사업 지원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었고,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되기 위한 심사조건들이 청년 고용 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청년친화강소기업 제도에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 


지난해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된 기업 70%가 수도권에 자리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청년친화강소기업에서도 존재했다. 그 원인에 대한 분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비대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선입견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정부는 청년친화강소기업을 홍보하는 데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지원에도 존재하는 지역 격차 

 

행정안전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청년에 해당하는 20·30대 전체 인구는 1천299만여명이다. 이 중 720여명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 579만여명이 비수도권에 거주했다. 전체 청년 인구 중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6월 발표한 '지역의 사회·문화 여건이 대졸자들의 지역이동에 미치는 효과'에 따르면 대졸자 2명 중 1명이 졸업 후 대학 소재지를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경향은 비수도권일수록 두드러졌다. 경제적 여건이나 노동시장 상황뿐만 아니라 교육·교통·안전·보건의료·환경 등 사회·문화 여건들이 영향을 미친 결과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청년일보와의 통화에서 "의외로 기업이 자리한 지역이 직장을 선택할 때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판교밸리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겠다는 학생들도 있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연구에서 비수도권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일자리 미스매칭이나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 지역 간 경제력 격차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여건들의 격차가 해소되거나 보상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격차 해소와 함께 비수도권 중소기업이 청년친화강소기업 인증에 더 많이 참여하거나, 심사에서 통과할만한 조건을 더 많이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하는 정책도 필요하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된 1천214개 기업 중 38.5%가 서울, 33%가 인천·경기, 28.5%가 그 외 지역에 자리했다. 정책의 수혜를 입는 기업 중 수도권 비중이 70%가 넘었다. 


통계청이 지난해 8월까지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약 728만여개다. 이 중 155만여개가 서울에, 221만여개가 인천·경기도에 자리한다. 전체 중소기업 중 절반 정도가 수도권에 위치했다. 


한국지방정부학회가 지난 2021년 8월 발표한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정책 수단의 활용과 결과:청년친화강소기업을 중심으로'에 따르면 노사문화·인재육성 투자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거나,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해 노력해 청년친화강소기업에 선정될 경우 구직자의 관심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일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더 컸다. 


이에 연구진들은 "청년친화강소기업 제도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인증 제도인 만큼 지방정부가 다양한 정책도구를 사용해 이들을 독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선입견 뛰어넘을 정보 제공 필요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2020년 8월에 발표한 '중소기업 취업 관련 청년층 인식조사'에 따르면 구직자가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 1순위는 공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그 뒤를 이었고 중소기업은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자료에 따르면 주변 사람들 눈에 중소기업 취업이 긍정적으로 보일 것이라고 인식하는 정도는 낮았다. 중소기업 취업 시 가족들이 지지할 것이다는 21.9%, 사회에서 괜찮다고 생각할 것이다는 14.0%, 친구가 잘했다고 생각할 것이다는 11.9% 정도였다. 


특히, 서울 거주자의 경우에는 수도권에 위치 및 주변 지인이 인정하는 기업이 중요하다고 대답하는 경향이 높았다. 


황용식 교수는 "강소기업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됐을 뿐, 중소기업이라는 프레임은 여전히 존재한다"면서 "학생들은 자신이 들어보지 못한 회사, 부모님이나 친인척이 들어보지 못한 회사는 가지 않겠다는 경향이 강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탄탄한 강소기업도 많은데 중소기업이라는 꼬리표에 저평가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할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언급한 한국지방정부학회 연구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경제학 용어인 정보비대칭성은 시장에서 기업과 소비자 등의 각 경제주체가 정보를 입수·활용하는 역량에 차이가 있어 불균등한 정보 구조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취업시장에서도 정보비대칭성이 발생한다. 정보를 모르는 구직자는 기업에 지원할 수 없고 기업 입장에서는 충분한 구직자 풀을 가질 수 없어 구직난과 구인난 모두가 발생한다. 


현재 우리나라 취업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정보 접근성은 대기업에 비해 상당히 떨어진다. 구직자들이 단순한 취업정보 외에도 급여·회사의 비전·복리후생 등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얻기 원하는 점을 감안하면 정보비대칭성 문제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더 크게 작용한다. 


이때 정부가 부여한 청년친화강소기업 인증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청년친화강소기업으로 선정된 조건들이 청년구직자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신호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업에 대한 관심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청년구직자들이 중소기업을 고려의 대상에 넣는 기회가 된다. 


연구는 청년친화강소기업이 구인난과 구직난 모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업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정부는 청년친화강소기업 제도를 보다 많이 홍보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