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밥상물가 천정부지"···韓 엥겔지수 G5 대비 상승폭 '확대'

한경硏,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분석 발표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11.4%→2021년 12.8%
"취약계층 부담 우려···식품물가 상승폭 최소화해야"

 

【청년일보】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올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분석을 통해 16일 이같이 밝혔다. 엥겔지수는 가계 전체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 포함)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한경연이 주요국별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19 직전이었던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p 상승해 같은 기간 G5 국가 평균(0.9%p)보다 가파르게 올랐다.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첫 번째 이유로 국내 식품물가가 급등한 점을 꼽았다. UN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5.2%를 기록해 G5 평균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비교대상 국가별 연평균 식품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한국 5.2% ▲미국 3.5% ▲독일 2.8% ▲프랑스 1.3% ▲일본 0.6% ▲영국 0.5% 수준이었다.

 

또한 한국의 경우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19와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물가가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한경연의 설명이다.

 

아울러 한국은 코로나19 기간,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이 2019년 4분기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3.9%p 감소했다.

 

한경연은 이처럼 한국 가계소비 자체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다고 내다봤다. 가계는 소비성향이 약화될수록 내구재 등 비(非)필수적 소비를 줄여나가는 만큼, 전체소비 중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식품가격 급등 등으로 엥겔지수가 높아지면, 저소득층의 생계가 특히 어려워진다고 한경연은 분석했다. 가처분소득의 크기가 작은 저소득층은 식료품 지출 비용이 증가하면 가처분소득 중 식료품 구매를 제외한 다른 목적의 소비로 사용가능한 자금(가용자금)의 비율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욱 크게 하락한다. 

 

이처럼 식품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 증가는 물론, 식료품 외 지출 여력까지도 크게 낮춰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식료품 지출 비용 상승률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의 1.1배 수준이었지만, 식료품비 증가에 따른 가용자금 감소율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의 4.8배 수준에 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식품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면서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 폭을 최소화해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