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3.2℃
  • 맑음강릉 23.3℃
  • 맑음서울 24.1℃
  • 맑음대전 23.6℃
  • 구름조금대구 24.4℃
  • 구름많음울산 20.2℃
  • 맑음광주 23.4℃
  • 구름많음부산 21.4℃
  • 맑음고창 21.6℃
  • 흐림제주 22.1℃
  • 맑음강화 22.3℃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21.4℃
  • 구름조금강진군 19.6℃
  • 구름많음경주시 21.2℃
  • 구름많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한국 자동차 세계 시장 점유율 '7.3%'…"전년 대비 소폭 하락"

한국차 점유율, 멕시코·미국 등에서↑… 중국·러시아서 큰폭↓
세계 자동차 시장점유율 1위는 '25.8%' 기록한 유럽차

 

【 청년일보 】 지난해 한국 자동차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7.3%로 전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가 21일 발표한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8개 주요 시장에서의 한국차 점유율은 지난 2021년 7.7%에서 2022년 7.3%로 0.4%포인트 떨어졌다.

 

한국차의 점유율은 멕시코(11.8%→12.0%), 미국(10.0%→10.7%), 유럽(8.7%→9.4%), 브라질(9.6%→9.7%), 아세안(3.6%→4.6%) 지역에서 증가했다.


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어지는 중국(2.4%→1.6%)과 러시아(22.7%→17.8%)에서 점유율이 다소 큰 폭으로 줄면서 한국차의 전체 점유율은 하락했다. 인도(22.3%→21.3%)에서도 소폭 줄었다.

 

작년 세계 자동차 시장점유율 1위는 25.8%를 기록한 유럽차가 차지했다. 다만 이는 전년보다 1.8%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이어 일본차는 25.3%(2021년 27.2%)의 점유율로 2위를 유지했다.

 

아울러 중국차 점유율은 2021년 15.8%에서 작년 19.5%로 무려 3.7%포인트 오르며, 점유율 18.3%(2021년 18.4%)인 미국차를 처음으로 제치고 3위에 올랐다.

 

한국차는 유럽차, 일본차, 중국차, 미국차에 이어 점유율 5위를 기록됐다.

 

유럽차, 일본차, 미국차, 한국차의 점유율이 일제히 하락한 반면 중국차의 점유율은 상승한 것이다. 이는 중국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EV) 업체인 비야디(BYD) 등 자국 브랜드의 성장에 기인한 것이라고 KAMA는 분석했다.

 

또 KAMA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정체·하락 기조에도 지난해 전기차 시장은 전년 대비 43.4% 성장했다고 밝혔다.

 

각 시장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유럽(46.3%), 중국(31.2%), 미국(12.3%) 순으로 높았고, 나머지 시장은 2% 미만이었다. 다만 1년간 성장률로 보면 아세안은 810%, 브라질 50%, 인도 30%로 가파르게 증가해 향후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KAMA는 덧붙였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중국의 글로벌 팽창이 현실화하는 한편 각국 정부는 환경규제를 강화하면서도 자국 산업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며 "전기차 생산 전환과 미래차 초격차 기술 확보는 물론 정부의 세제와 기술 지원, 외교적 노력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