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2030 청년, '결혼 긍정' 절반에도 못미쳐…60%는 부모와 동거

결혼 하지 않는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 꼽혀
부모동거 미혼청년 비율, 수도권 32.8% 최다

 

【 청년일보 】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지는 200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며, 남성보다 여성이, 30대보다 20대에서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5일 이러한 내용은 담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발표했다.


◆ 20대 '결혼 긍정' 인식, 남성 30.0%p·여성 25.4%p '뚝' 떨어져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여성 청년은 2008년 52.9%에서 지난해 20대 27.5%, 30대 31.8%로, 같은 기간 남성 청년은 71.9%에서 20대 41.9%, 30대 48.7%로 감소했다.


아울러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고, 특히 60대 이상에서 남성 74.9%, 여성 68.7%로 50대(남 60.0%, 여 45.5%)보다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긍정적 태도가 낮았으나, 60대 이상에서는 성별 격차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가장 많으며, 이러한 응답은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50~60대 이상에서는 '직업이나 고용상태 불안정'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40대 이하에서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성별로는 30~40대가 생각하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경제적 이유'는 남성이 높고, '일가정 양립 어려움'은 여성이 더 높았다.


이 밖에 20대의 출산결정시 중요 고려사항으로 '경제적 여건'은 50% 이상이며, '배우자의 육아분담', '보육·양육 서비스 이용'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 19~34세 청년 59.7%, 부모와 동거


또, 청년의 절반 이산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은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으며, 청년독거가구(25.4%), 청년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가구(6.8%) 순으로 집계됐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의 부모 동거가구(미혼) 비율이 32.8%로 광역시(12.1%), 광역도(14.8%)보다 높았다.


아울러 주거유형별로는 청년독거가구는 연립다세대가 40~50% 정도로 높았으며, 수도권 거주 청년독거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도 32.4%로 높은 수준이었다.


또,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은 수도권 거주 청년독거가구가 3.24%로 가장 높았고,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부부가구와 부모동거가구도 1% 이상으로 조사됐다.


청년독거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광역도 지역 거주 청년들의 대중교통 만족도는 모든 가구유형에서 낮았다.


이 밖에 청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이 80% 이상을 차지 하면 가장 높았다.


청년부부 및 청년‧자녀 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이 50% 이상으로 높았으며, 독거 및 부모동거 청년은 주거비 지원과 공공임대 입주를 상대적으로 많이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에 대해서도 청년독거가구와 부모동거가구(미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도권 거주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