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2024 청년대책(下)] '젊은 당뇨에 우울증까지' 위협받는 청년 건강…정부, 대책 마련 '진땀'

청년 10명 중 4명 이상 바쁘거나 돈이 아깝다는 이유로 병원 포기
대표적 성인병 '당뇨' 인지·치료율 타 연령대 비해 낮아 "관리 필요"
20~30대 우울증 '심각', 자살 시도 '급증'…정부, 대책 마련 '동분서주'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밝았음에도 여전히 청년들의 삶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청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청년의 기본 일상부터 일자리, 건강까지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해결방안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취업 준비 비용에 교통비 부담 경감까지"…청년 맞춤형 정책 '주목'

(中) '취업 포기' 니트족 확대에…정부, 맞춤 일자리 정책 확대

(下) '젊은 당뇨에 우울증까지' 위협받는 청년 건강…정부, 대책 마련 '진땀'

 

【 청년일보 】 최근 청년세대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MZ세대로 불리는 20·30대 당뇨 환자가 중장년층에 비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20·30대 당뇨병 진료환자는 10년 전에 비해 74% 증가한 14만명으로 추산된다. 같은기간 성인병 중 하나인 고혈압 환자 역시 45% 증가했다. 


이에 더해 전문가들은 20·30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매년 우울증이 증가하고 있다며 심각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청년층 건강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 


◆ 아파도 치료받지 못하는 청년들…성인병 '당뇨' 위험도↑  


이같이 청년층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지만 정작 대부분의 청년들은 생업과 자금부족으로 적절한 치료와 예방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1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청년 빈곤실태와 자립 안전망 체계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청년 10명 중 4명 이상이 바쁘거나 돈이 아깝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만 19∼34세 청년 4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으로, 조사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병원에 가지 못한 청년의 비율은 41.6%에 달했다.


이들이 병원을 찾지 못한 이유로는 가장 많은 비율(47.1%)이 '병원 갈 시간이 없어서(바빠서)'라고 답했으며, 이어 '병원비(진료비)를 쓰는 것이 아까워서(의료비 부담)'가 33.7%, '약국에서 비처방약을 사 먹어서'가 9.3%였다.


또한, 매달 생활비에서 의료비 평균 지출비중은 '5% 이하'가 54.0%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비 부담을 느낀다고 답한 비율은 40.0%였다.


특히 건강검진을 받아본 적이 없는 청년이 절반 이상이며, 청년들은 주변 사람에게 도움을 받는 일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 조사결과로 나타났다.


이같이 청년층이 병원을 찾지 않자 4대 성인병(비만·고지혈증·당뇨·고혈압)중 하나인 당뇨병 환자 인지율과 치료율 또한 30·40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당뇨병 관리지표 심층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1년 기준 30·40대 당뇨병 유병률은 9.3%로 50·60대(24.4%), 70대 이상(30.9%)보다 크게 낮았다.


하지만 30·40대의 경우 자신이 당뇨병 환자라는 것을 인지하거나 치료하는 비율 역시 낮아 전문가들로부터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40대 남성 환자 중 의사에게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의 비율을 뜻하는 인지율은 51.6%에 불과했다. 50·60대는 66.8%, 70대 이상은 75.9%였다. 특히 여성 30·40대 인지율은 48.6%에 그쳤다. 50·60대는 67.8%, 70대 이상은 78.7%였다.


이어 당뇨병 환자가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비율을 뜻하는 치료율도 30·40대 남성은 46.7%로, 50·60대(60.8%), 70대 이상(72.8%)과 차이가 컸다.


30·40대 여성 치료율은 40.9%로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낮았고, 50·60대(65.5%), 70대 이상(76.7%)보다도 크게 떨어졌다.


의료계 한 전문가는 "젊은 연령대 당뇨 환자에 대한 집중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며 "비만, 흡연, 신체활동 등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추진 중인 만성질환 예방사업과의 연계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최근 설탕물이 첨가된 중국 간식 탕후루가 청소년들과 청년층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전문가들로부터 당뇨발병 주요 원인인 식습관에 대한 지적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탕후루 제조업체의 대표가 소환되어 정치권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탕후루 전문 프랜차이즈업체인 달콤나라앨리스 정철훈 사내이사는 "이 정도면 국가에서 지정하는 당 함유량에 적합하다고 판단해 개발했는데, 부족한 게 있지 않나 싶어 끊임없이 개발 중"이라며 성분 표시 문제에 대해 "식약처의 기준치에 적합하게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 20~30대 우울증 '심각'…자살 시도도 '급증'


요근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우울증 또한 청년세대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중 하나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대가 19만4천2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6만4천942명으로 뒤를 이었다.


여기에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동안 우리나라 자살률은 46% 가량 급상승하면서 자살률 1위 국가의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최근 발간한 '2021-2022 응급실 자해·자살 시도자 내원 현황'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응급실 이용자 769만4천472건 중 자해·자살 시도자는 4만3천268건(남성 1만5천675건·여성 2만7천593건)이었다. 


지난 2022년 자살·자해 시도자는 인구 10만명 당 84.4건이다. 남성은 61.4건, 여성은 107.3건으로 여자가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만2천432건, 10대가 7천540건, 30대가 6천71건 순이었다. 전체 시도자 중 10∼20대 비중이 46%를 차지했다.


인구 10만명 당으로 봐도 20대에서 190.8건, 10대에서 160.5건, 30대에서 91.5건 순이었다. 특히 10대와 20대의 자해·자살 시도가 최근 수년간 급증하는 추세다.


자해·자살을 시도한 10대는 2018년 인구 10만명당 95.0건에서 2022년 160.5건으로 5년간 68.9% 급증했다. 같은 기간 20대는 127.6건에서 190.8건으로 49.5% 뛰었다. 이 기간 전체 자해·자살 시도자 증가율 11.8%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인간관계 단절, 경기침체로 인한 극심한 취업난 등을 겪으면서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 정부 청년 정신건강 대책 마련에 '동분서주'


정부 역시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청년층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기존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는 등 청년을 위한 정신건강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우울증과 자살시도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54만명의 고립·은둔 청년이 세상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선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고립·은둔 청년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비대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원스톱 도움 창구'를 올 하반기 마련해 고립·은둔 청년을 상시 발굴한다. 사회적 관계가 단절된 이들 청년의 주된 활동 공간이 '온라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비대면으로 언제든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보건복지부 소관 공공사이트에는 자가진단시스템을 마련해 고립·은둔 위기 정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129 보건복지상담센터'에 청년 항목을 신설해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 친구 등도 도움을 요청하도록 한다.


보육원 등 보호시설의 보호 종료 5년 이내인 자립준비청년은 고위험군으로 여겨진다. 이들을 돕기 위해 '탈고립·은둔 전담인력'이 관련 기관에 배치된다.


이어 최근 1만2천1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립·은둔청년 심층조사 과정에서 도움을 요청한 1천903명은 우선 지원대상이 된다.


올해 4개 광역시도를 선정해 2년간 청년미래센터를 시범 운영한 후 전국으로 확대한다. 올해 예산은 13억원으로, 32명의 전담 인력이 배치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힘들어하는 청년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 다양한 사회문제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