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은 현재 '저출산 문제'와 '청년 일자리 부족'이라는 두 가지의 심각한 사회적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들은 한국 사회의 미래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현재와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출생률은 2022년에 역대 최저치인 0.78명을 기록했다. 이는 출생아 수가 사망아 수보다 적어지는 '자연감소'가 되풀이되는 것으로,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가 급격히 노령화되고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
저출산 문제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경제적 부담,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사회적 압력, 여성의 사회경제적 활동 등이 포함된다.
한국의 청년들은 취업의 기회와 안정적인 일자리에 대한 높은 기대와 실망을 안고 있다. 저출산 문제와 관련해 청년들의 경제적 불안정은 가족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이 어려워 경력을 쌓지 못하거나, 불안정한 일자리에서 근무하면서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사회는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먼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교육, 복지 제도를 개선해 청년들의 경제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저출산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출산 및 양육 지원 정책, 육아휴직 확대, 근로시간 단축 등의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와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은 국가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정부와 사회의 노력과 협력이 필요하다. 또,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통해 청년들의 경제적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출산 및 양육 지원 정책을 강화해 저출산 문제에 대한 대응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모든 세대가 풍요롭고 안정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청년서포터즈 7기 백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