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애플 스토어.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416/art_17132256454392_923dc3.jpg)
【 청년일보 】 올해 1분기 아이폰의 전 세계 출하량이 중국에서의 판매부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가량 감소했다.
15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의 아이폰 출하량은 총 5천10만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6% 감소한 수치로, 블룸버그 통신이 조사한 시장의 평균 예상치인 5만170만대를 밑돌았다.
IDC는 이번 1분기 감소 폭이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마비 이후 가장 큰 것이라고 설명했다.
1분기 아이폰 출하량의 감소 폭은 같은 기간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더 성장했다는 점에서 타격이 더 크다.
올해 1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7.8% 성장한 2억8천940만대로 집계됐다.
아이폰의 출하량 감소는 중국에서의 판매부진이 가잔 큰 이유로 꼽힌다.
IDC의 나빌라 포팔 리서치 국장은 "중국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애플의 1분기 실적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올해 첫 6주 동안 중국 내 아이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다.
실제 1분기 동안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샤오미(14.1%), 트랜션(9.9%), 오포(8.7%) 등 중국 제조사들이 삼성전자(20.8%)와 애플(17.3%)의 뒤를 이어 3∼5위에 올랐다.
특히, 샤오미와 트랜션의 출하량은 이 기간 각각 33.8%, 85% 급증했다.
또한, 화웨이는 지난해 8월에 출시한 '메이트 60 프로'가 인기를 끌며 아이폰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 정부가 지난해 직장 내 외국 기기 사용을 금지하면서 아이폰 판매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카운터포인트는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베트남 방문 중 현지 투자 확대 계획을 공개했다.
애플은 미·중 갈등 속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베트남 및 인도 등 다른 국가에서의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5월에는 베트남에 온라인 애플 스토어를 개설하고 주요 서비스를 도입해 베트남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한편 미 동부 시간으로 오후 1시 기준 애플의 뉴욕 증시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약 1% 가까이 하락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