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5.8℃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5.4℃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3.1℃
  • 흐림제주 22.5℃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1.4℃
기상청 제공

전공의 병원 이탈 100일째…'의대 증원' 확정 두고 의정 갈등 평행선

의협, 강원도청서 촛불집회 시작...서울의대 교수협 토론회 개최

 

【 청년일보 】 정부의 의학대학 증원에 반발하고 있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지 100일째를 맞았다.


29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이날로 전공의들이 집단사직한 지 100일이 됐다. 앞서 전공의들은 의대생들과 지난 2월 20일을 '디데이'(D-day)로 잡고 의료 현장과 학교를 각각 이탈했다.


전공의는 전문의 자격을 얻고자 병원에서 인턴으로 1년, 진료과목을 정한 레지던트로 3∼4년 수련하는 의사를 말한다.


수련생과 근로자(의사)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 채 상급종합병원에서 도제식으로 수련받으며 장시간 과로에 시달려 왔다.


이들이 속한 수련병원은 전체 인력의 최대 40% 가량을 저임금의 전공의로 채워 병원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각 병원은 전공의들이 한 번에 빠지자 인력난·경영난 등으로 휘청이고 있다. 그만큼 전공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것이다.


최근 27년 만에 의대 증원이 확정됐는데도 전공의들은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수련병원 211곳 중 레지던트 1만501명 가운데 839명만 출근(출근율 8.0%)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다수 전공의가 소속된 주요 수련병원 100곳의 출근율은 6.8%(9천991명 중 675명)로 더 낮았다.


정부는 연속 근무시간 단축, 수련환경 개선 등을 약속하며 복귀를 설득할 방안을 찾고 있다. 또 복지부는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고자 수련병원에 요청한 개별 상담 기간을 늘렸다.


복지부는 애초 병원에 전공의 개별상담 협조요청 공문을 보내며 상담은 24∼28일 진행하고 이날까지 결과를 제출해 달라고 했지만 현장의 어려움을 고려해 기한을 31일까지로 연장했다.


한편 의사단체들은 정부 정책의 부당함을 알리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30일 전국 권역별로 촛불집회를 열 예정이며, 강원권에서는 이날 오후 8시 강원도청에서 촛불집회를 진행한다.


의협은 정부의 일방적 의대 정원 정책을 규탄하고 증원으로 어떤 위험이 생길지 국민들에게 알린다는 계획이다.


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전일 기자간담회를 연 데 이어 이날은 '모두를 위한 의료개혁: 우리가 처한 현실과 미래'를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복지부 의료개혁 실무자들도 참석해 정부가 제시하는 의료의 미래를 설명할 방침이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