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3.8℃
  • 맑음강릉 24.2℃
  • 맑음서울 25.1℃
  • 맑음대전 24.5℃
  • 구름조금대구 25.1℃
  • 구름많음울산 20.9℃
  • 맑음광주 24.4℃
  • 흐림부산 21.8℃
  • 맑음고창 22.2℃
  • 구름많음제주 22.3℃
  • 맑음강화 23.2℃
  • 맑음보은 21.6℃
  • 맑음금산 22.5℃
  • 구름많음강진군 21.1℃
  • 구름많음경주시 22.3℃
  • 흐림거제 19.9℃
기상청 제공

지자체 女공무원 비중, 男 첫 역전…간부급은 18.8%에 불과

여성 공무원, 15만7천935명...'50.4%'
부산·서울·인천 순으로 여성 비중↑

 

【 청년일보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 수가 처음으로 남성을 넘어섰다. 


그러나 간부급 공무원에서 여성의 비중은 여전히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


4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여성 공무원 수는 15만7천935명으로, 전체 공무원 31만3천296명 중 50.4%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22년 49.4%, 2021년 48.1%에 비해 증가한 수치로, 지자체에서 여성 공무원이 남성 수를 초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의 여성 공무원 비중이 56%로 가장 높았고, 서울(54.4%)과 인천(53.6%)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경북(44.1%)과 제주(44.2%)는 여성 공무원 비중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4급 이상 간부급 공무원 중 여성의 비중은 18.8%에 불과해 '유리천장'이 여전함을 보여줬다. 


1∼4급 여성 공무원의 비중은 2021년 13.3%, 2022년 15.4%로 꾸준히 늘었으나, 여전히 전체 5분의 1도 되지 않는다.


1급 공무원의 경우, 전체 7명 중 1명(14.3%)만이 여성이며, 2급에서는 88명 중 3명(3.4%), 3급은 433명 중 55명(12.7%), 4급은 3천341명 중 668명(20%)이 여성이었다.


국가직 1∼3급 상당 공무원을 의미하는 고위공무원 중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된 40명 가운데 여성은 3명(7.5%)에 불과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시에서 1급과 2급 각 1명, 경남과 제주에서 2급 각 1명의 여성 공무원이 있었다.


고위공무원의 경우, 부산·충북·경북에 각각 1명씩 여성 공무원이 존재했다.


1∼4급 공무원의 경우, 부산이 35.1%로 여성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서울(24%)과 울산(24.4%)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여성 비중이 가장 적은 지자체는 세종(10%)과 전남(11.4%)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신규 임용된 지자체 공무원은 총 2만173명이었고, 퇴직자는 1만5천588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육아휴직을 사용한 공무원은 1만6천150명으로 전년 대비 약 9.5% 감소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