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강릉 7.8℃
기상청 제공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효과…"5명 중 1명은 제한적"

임상시험서 10~15% '비반응자'…"실사용서 20% 이를 것"

 

【 청년일보 】 23일(현지시간) AP통신이 전문가들의 견해를 인용해 최근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 계열의 약물 '위고비(Wegovy)'와 '오젬픽(Ozempic)' 등이 약 20%의 환자에게는 체중 감량 효과가 미미하다고 보도했다.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낮추는 동시에, 위장 운동을 느리게 해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 둘라글루타이드(dulaglutide) 등이 주성분으로 사용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상품으로는 삭센다(Saxenda), 마운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 빅토자(Victoza) 등이 있다.


임상시험에서는 상당수 환자들이 15~22%의 체중 감량 효과를 경험했지만, 체중 감소가 5% 미만에 그친 '비반응자(nonresponder)' 비율이 약 10~15%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비반응자 비율이 20% 수준에 이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약물들이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당뇨병 전문가인 파티마 코디 스탠퍼드 박사는 "각 개인의 반응이 다르다는 점을 환자들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며 환자가 초기에 효과를 느끼지 못하면 다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체중 감량 효과는 대개 치료 초기 몇 주 내에 나타나며, 약물의 용량을 조절하면서 효과가 지속되기도 한다. 하지만 동일한 약물에 반응하지 않았던 환자가 다른 GLP-1 수용체 작용제에는 반응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코넬대 와일 의대 캐서린 손더스 박사는 "비만은 매우 복합적인 질환이며, 약물 외에도 식단, 운동,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 생활습관 요인이 성공적인 치료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약물의 효과 여부는 몇 주 내에 판별될 수 있으며, 효과가 없는 경우 다른 치료 옵션을 적극적으로 탐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비만 치료는 단순히 약물에 의존하기보다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개별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캐서린 박사는 "약물이 효과가 없다면 대안은 항상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성공적인 체중 관리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