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8 (수)

  • 맑음동두천 -5.6℃
  • 맑음강릉 -0.1℃
  • 맑음서울 -2.5℃
  • 구름조금대전 -1.2℃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2.1℃
  • 맑음광주 3.7℃
  • 맑음부산 3.4℃
  • 흐림고창 2.0℃
  • 제주 8.1℃
  • 구름조금강화 -4.4℃
  • 맑음보은 -3.6℃
  • 맑음금산 0.1℃
  • 구름많음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1.5℃
  • 구름많음거제 5.1℃
기상청 제공

신흥 강자 부상한 아세안 반도체 산업…무협 "맞춤형 협력 전략 필요"

무협,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보고서 발간

 

【 청년일보 】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급부상한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성장세가 미국 신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국내 반도체 산업의 중국 의존도 완화·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하 무협)이 27일 발간한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전통적 강자인 아세안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공급망 재편 요구 속에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 및 중국 외 거점을 확보하는 'CHINA+1' 전략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최대 수혜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고서는 아세안 지역 내에서도 전기·전자산업 경쟁력이 우수하고 해외 투자 유입이 활발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3개국에 주목했다.

 

실제로 이들 국가에는 인텔, 삼성, 글로벌파운드리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투자가 쇄도하는 상황이다. 미국의 대중 압박이 거세지며 제재 회피 목적으로 아세안 지역에 진출하는 중국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3개국의 최대 수출 산업으로 2022년 기준 이들 3개국의 반도체 수출은 전 세계 반도체 수출의 19.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과 한국의 반도체 연평균 수출이 각각 9.9%, 9.3% 증가한 것에 비해 말레이시아 10.7%, 베트남 27.3%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아세안 국가들도 인적 자원과 지정학적 강점을 바탕으로 반도체 생산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우선 싱가포르는 자국 내 기술 역량 혁신과 법인세 감면을 통한 해외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국가 전략을 바탕으로 1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통해 첨단 패키징 기술과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역시 2050년 반도체 산업 매출 1천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자국 내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보고서는 아세안 반도체 산업 특성상 첨단 기술 및 장비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 영향이 제한적인 점에 주목했다. 아세안의 반도체 산업은 조립‧테스트‧패키징 등 후공정 위주의 구조로 미국의 제재 대상과 거리가 멀다.

 

특히 패키징은 범용 장비를 사용하고 개별 업체의 노하우가 중요한 분야로 제재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향후 미국이 제재를 강화하고 첨단 패키징의 자국 생산을 유도하더라도, 전 세계 첨단 패키징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아세안과의 협력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아세안과의 협력이 대중 의존도 완화 및 공급망 다변화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후공정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제언했다. 반도체 미세화의 한계로 첨단 패키징 등 후공정 경쟁이 주목받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후공정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후공정 강자이자 최근 글로벌 기업의 투자로 첨단 패키징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아세안이 협력 파트너로 유망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내 반도체 인력 부족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노동력이 풍부한 아세안 국가와의 공동 인력 양성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했다.

 

허슬비 무협 연구원은 "아세안은 반도체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한국의 후공정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대상"이라면서도 "아세안 각국의 대미‧대중 협력 정도가 상이한 만큼, 미국 신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맞춰 맞춤형 협력 전략 및 리스크 분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