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정리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을 통해 첫 매각 사례가 나왔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3538285726_c7cc19.jpg)
【 청년일보 】 금융당국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정리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을 통해 첫 매각 사례가 나왔다.
금융당국은 플랫폼을 통한 PF 부실 정리를 독려하는 한편 부실 정리가 지연되는 금융사에는 현장검사에 나서는 등 '투트랙'으로 PF 정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PF 정보 공개 플랫폼 구축 이후 첫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지난달 22일 PF 정리 촉진을 위해 매각 추진 사업장 현황 리스트를 제공하는 정보공개 플랫폼을 마련했다.
출시 당시 경·공매 대상 사업장 중 소송 진행 중이거나 경·공매 일정 미확정 사업장을 제외하고 195개 사업장(3조1천억원) 규모가 우선 공개됐다.
계약이 체결된 사업장은 지방 소재 물류센터로, 이전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공매 플랫폼 온비드를 통해 3차 공매까지 진행됐으나 인수자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공매가가 하락하면서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매수 의향자가 적극적으로 매수를 추진하게 됐고, 대주단 대출금액 대비 72% 수준으로 매매계약이 신속하게 이뤄지게 됐다는 것이 금감원 설명이다.
이 사업장 외에도 수도권 소재의 상업시설 사업장은 현재 매매계약 체결 직전 단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을 포함해 현재 8∼9개 사업장(4천억원 규모)이 거래 당사자 간 구체적인 가격 협상이 진행돼 이달 본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PF 정보 공개 플랫폼이 지난달 22일 구축된 이후 설 연휴(1월 27∼30일)를 제외하면 사실상 3주 만의 성과로, 짧은 시간 의미있는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은 이달 말 1조원 상당의 사업장 정보를 추가하는 등 정보공개 대상 사업장을 매월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2차 매물 공개 시에는 건설유관단체, 건설사 등이 희망하는 사업장 요건 등을 제시하도록 하고, 금융사가 해당 조건에 맞는 사업장을 선별해 설명하는 등 맞춤형 매각설명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정보 공개 플랫폼을 통한 매매 활성화와 별개로 매각이 지연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현장검사에 나서는 등 투트랙으로 매매를 독려할 예정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중순 PF대출 취급 규모가 큰 저축은행 등 10여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부실 PF 대출 정리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다음달부터 PF 부실 정리가 지연되는 저축은행의 PF대출 취급 과정 및 리스크 관리의 적정성을 점검하기 위해 현장검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정리대상 PF 익스포저 12조5천억원 중 지난해 말까지 약 4조원 내외가 정리됐다. 이는 기존 연말까지 정리계획(4조3천억원)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금감원은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해 PF 사업장이 당초 계획대로 원활히 정리될 경우 다음 달 말까지 누적 기준 7조4천억원이 정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