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동두천 15.8℃
  • 맑음강릉 11.2℃
  • 구름조금서울 18.3℃
  • 맑음대전 19.8℃
  • 맑음대구 15.5℃
  • 구름많음울산 18.8℃
  • 흐림광주 18.1℃
  • 구름많음부산 17.9℃
  • 맑음고창 17.0℃
  • 구름많음제주 22.6℃
  • 맑음강화 14.2℃
  • 맑음보은 14.5℃
  • 맑음금산 19.0℃
  • 구름조금강진군 17.2℃
  • 구름많음경주시 15.0℃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한전·한수원, UAE 원전 추가비용 ‘1조4천억원’ 지급 협의 난항

한전 “UAE서 돈 받는게 먼저”
한수원 “원전, 독립법인 계약”

 

【 청년일보 】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건설의 추가 비용 1조4천억원의 처리 문제를 놓고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 간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가 체결한 운영지원용역(OSS) 계약에 담긴 내용에 따라 런던국제중재법원에 이를 상정해 해결할 가능성도 커졌다.

 

24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최근 비공개로 만나 추가 비용 처리 문제를 놓고 협의했으나 구체적 해결방안을 도출하지 못한 채 양사 실무진 간 협의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이후 10억달러(1조4천억원)의 추가 공사 대금 정산을 요구하는 한수원과 발주자인 UAE 측과 협의를 통해 ‘팀코리아’ 차원에서 추가 비용을 정산받는 것이 먼저라는 한전의 입장이 충돌해 대화가 진전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총 4기로 구성된 바라카 원전은 한국이 처음 해외에서 수주한 원전으로 수주 금액은 약 20조원이다.

 

작년 마지막 4호기까지 상업 운전에 들어가고 나서 프로젝트가 마무리돼 주 계약자인 한전과 시운전에 해당하는 OSS를 맡은 한수원 등 여러 협력사 간 최종 정산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수원은 작년 1월 발주사인 UAE와 한전 등의 귀책으로 인한 공기 지연, 일련의 추가 작업 지시 등을 근거로 10억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 정산을 정식으로 요구하는 ‘클레임’을 제기했다.

 

한수원은 비록 한전이 100% 지분을 가진 자회사이지만 양사가 독립 법인으로서 체결한 OSS 계약을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한 만큼 한전이 발주처인 UAE와 정산을 하는 것과 별도로 자사 서비스 정산을 객관적 기준에 따라 해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전은 팀 코리아 차원에서 UAE에 먼저 추가로 더 들어간 공사비를 받아내고 난 다음에야 팀 코리아 차원에서 이를 나눠 갖는 논의를 하자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자회사인 한수원이 모회사인 한전을 상대로 추가 정산금을 요청하는 것을 두고 유감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는 일”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 발언이 전해지고 난 뒤 한수원 내부에서는 법인 간 계약에 따른 정산권 자체가 인정받지 못한다면 한전과의 협상이 더는 무의미하다고 보고 국제 분쟁으로 가기로 가닥을 잡고 관련 실무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과 한수원이 체결한 OSS 계약에는 양사 간 이견이 클레임 단계에서 조정되지 못하면 런던국제중재법원(LCIA)에서 법적 해결을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전과 한수원은 이미 각각 국제 분쟁에 대비해 로펌을 선임해 둔 상태다.

 


【 청년일보=선호균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