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악성 미분양' 2만3천가구 육박…11년 3개월만에 '최대치'

전국 '악성 미분양' 주택 규모 전달보다 6.5% 상승
일반 미분양 수도권에서 한 달 새 2천가구 이상↑

 

 

【 청년일보 】 다 짓고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 주택 규모가 전달보다 6.5% 늘어나 2만3천가구에 육박하며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반 미분양은 수도권에서 한 달 새 2천가구 이상 늘어 7만2천가구대로 불어났다.

 

국토교통부가 28일 발표한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일반 미분양 주택은 7만2천624가구로, 전월보다 3.5%(2천451가구) 늘었다.

 

특히 증가분은 전부 수도권에서 나왔다. 평택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하며 경기 미분양(1만5천135가구)이 한 달 새 2천181가구 늘었다.

 

이에 따라 수도권 미분양(1만9천748가구)이 전월보다 16.2%(2천751가구) 늘었고, 지방(5만2천876가구)은 0.6%(300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경기도에 가장 많이 쌓여 있다. 이어 대구(8천742가구), 경북(6천913가구), 경남(5천203가구) 등 순이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달 말 2만2천872가구로 전월보다 6.5%(1천392가구) 늘었다. 이는 지난 2013년 10월(2만3천306가구)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로 2023년 8월부터 18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늘어난 악성 미분양의 86%는 지방에서 발생했다. 특히 대구 악성 미분양(3천75가구)이 401가구, 부산(2천268가구)은 382가구 증가했다.

 

아울러 연초 주택 공급 지표 또한 부진하다. 1월 주택 인허가는 2만2천45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0% 줄었다.

 

수도권 인허가(1만5천128가구)가 37.9% 늘었지만, 지방(7천324가구)에서 50.7% 줄어든 여파다.

 

1월 주택 착공은 1만178가구로 작년 동기보다 55.7% 감소했다. 수도권 착공(3천985가구)이 68.4%, 지방(6천193가구)은 40.1% 줄었다.

 

1월 분양은 7천44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46.2% 감소했다.

 

준공 실적(4만1천724가구)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5% 증가했다. 수도권 준공(1만6천32가구)이 19.4% 줄었으나, 지방(2만5천692가구)이 52.2% 늘었다. 아파트 준공이 20.6% 증가했고, 비아파트는 37.1% 줄었다.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는 3만8천322건으로 전월보다 16.5% 감소했다.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는 1월 5천307가구로 전월 대비로 6개월 연속 줄었다. 이중 아파트 거래가 3천233건으로 전월(3천656건)보다 11.6% 감소했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는 20만677건으로 전월보다 7.9%,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19.0% 줄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59.2%다. 전년보다 3.3%포인트 증가하며 60%에 육박했다.

 

특히 전국 비아파트의 월세 거래 비중은 1월 73.7%까지 높아졌다. 서울은 73.8%이며, 지방은 79.7%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