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p) 인상하기로 의결했다. 이와 관련해 증권가에서는 한은이 경기보다는 '금융 불균형'이 더 시급한 현안이라고 판단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834/art_16299611540046_f6e66c.jpg)
【 청년일보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6일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과 관련해 증권가는 한은이 경기보다는 '금융 불균형'이 더 시급한 현안이라고 판단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p) 인상하기로 의결했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리를 인상한 것은 경기 회복세 지속, 물가상승 압력, 금융불균형 누적 세 가지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금통위의 금리 인상 결정은 그동안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린 부작용으로 가계대출 증가, 자산 가격 상승 등 '금융 불균형' 현상이 심해지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데서 기인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이 같은 인상과 관련해 "올해 성장률, 내년 예상되는 성장 및 물가 수준 등을 봤을 때 기준금리 0.25% 수준은 경기 펀더멘털(기초여건)에 비해 불필요하게 낮다고 본 것 같다"며 "그로 인한 부작용이 점점 더 커지는 시점으로 본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한은이 금융 안정을 강조한 만큼 연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그러나 그 시점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이 나왔다.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오는 10월이나 1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한 차례 더 올려 1% 수준에 맞추고 연준 동향 등을 살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1월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확실시 되고 있기 때문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에는 미국도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이 더 가시권에 들어오기 때문에 해외 주요국 등을 보고 한은도 11월에 한 번 더 올릴 것 같다"고 예상했다.
반면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 총재가) '다른 나라들과 보조를 맞춰야겠다, 특히 미국의 테이퍼링 일정이라든지 이런 거에 맞추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면서 "공교롭게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점에서 정책 전환을 시사했던 일부 국가들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서 (정책) 일정 자체가 연기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통위가 Fed 보다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했기 때문에, 공 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우리가 너무 앞서가는 데 대해 (한은이) 부담을 느낄 것"이라며 "내년 1분기 정도를 추가 인상 시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시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