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문정부서 아파트값 양극화 심화...상·하위 매매가 격차 10배

하위 20% 평균 1억2천313만원, 상위 20% 12억4천707만원

 

【 청년일보 】  문재인 정부 집권기 아파트 매매 시장의 양극화가 두 배 넘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10.1로 조사됐다. 이 같은 수치는 2008년 12월 관련 월간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다.

'5분위 배율'이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이 수치는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사이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그렇기에 5분위 배율이 10.1로 나타났다는 것은 전국적으로 가격 상위 20%의 아파트가 하위 20% 아파트보다 매매가격이 10배 넘게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전국 하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억2천313만원, 상위 20%의 아파트값은 평균 12억4천707만원에 이르렀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7년 4월만 하더라도 아파트 매매 5분위 배율은 4.7 수준이었지만, 5년간 배율이 2배 이상으로 상승하며 '아파트 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된 것이다.

 

지난달 전남 고흥군 뉴코아아파트(전용면적 22.68㎡ 단일) 5채가 각각 1천350만원에 직거래 방식으로 팔렸다.

 

반면 서울에서는 지난달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93㎡가 78억5천만원, 강남구 청담동 효성빌라청담 전용 226.62㎡가 74억7천만원에 각각 거래됐다.

 

또한 같은 달 강남구 청담동 청담어퍼하우스(전용 200.38㎡·67억5천만원)와 삼성동 아이파크(전용 195.388㎡·64억5천만원),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전용 129.92㎡·64억원),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전용 165.182㎡·62억원)는 60억원대에 매매 계약서를 체결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가격이 꾸준히 오르는 대형 '똘똘한 한 채'의 선호 현상과 무관치 않다"고 이 같은 현상을 분석했다.

 

매매보다는 그 폭이 작지만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의 5분위 배율도 같은 기간 4.9에서 8.0으로 크게 상승했다.

 

지난달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 시장은 하위 20%의 아파트가 8천809만원을 기록한 가운데 상위 20%의 아파트는 7억116만원으로 7억원을 돌파하며 가격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아울러 작년 12월 말 기준 전국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매가격 비율'(PIR: Price Income Ratio)은 소득과 주택가격이 전체에서 중간 수준인 3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7.6으로 나타났다.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해당 수치가 '7.6'이라는 것은 중산층이 7년 넘게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중간 가격 수준의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이 수치가 2017년 말 11.5에서 작년 말 19.0으로 치솟으며 역대 최고치에 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박 교수는 "아파트값 양극화를 해결하고 서민들의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려면 도심에 중소형 아파트 공급을 집중적으로 늘리는 수밖에 없다"며 "또 공급 확충을 위해서는 용적률 상한을 올리는 것 외에도 인허가 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