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8.5℃
  • 구름조금서울 29.6℃
  • 구름조금대전 29.0℃
  • 구름많음대구 28.7℃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8.9℃
  • 구름많음부산 26.5℃
  • 맑음고창 29.0℃
  • 구름많음제주 25.1℃
  • 맑음강화 27.2℃
  • 구름조금보은 28.3℃
  • 구름조금금산 28.2℃
  • 구름많음강진군 28.5℃
  • 구름많음경주시 29.5℃
  • 흐림거제 26.3℃
기상청 제공

C커머스, 매년 41% 급성장…"한국 시장 장악 가속"

글로벌 톱5 기업 중 3곳이 中업체…국내서 구매액 미국 첫 추월

 

【 청년일보 】 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이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C커머스)이 한국 유통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면서 국내 유통산업 정책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공개한 '최근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 시장규모는 2018년 2조9천억달러에서 지난해 5조8천억 달러로 5년 만에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글로벌 연평균 성장률은 14.6%로, 이는 전체 소매업 성장률 4.4%와 비교하면 3.3배에 해당할 정도의 급성장이다.

 

무엇보다 징동닷컴과 알리바바, 테무 모기업 핀둬둬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빅3'의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41.0%로 집계됐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미국 기업 아마존이 차지했다.

 

이어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한국) 순이다. 세계 전자상거래 5대 기업 중 3개를 중국이 싹쓸이한 셈이다.

 

C커머스 확대로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역대 최대인 228조9천억원으로, 중국과 미국, 영국, 일본에 이어 5위에 오를 정도로 성장했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전년 대비 121.2% 급증한 3조3천억원으로, 미국 플랫폼을 거친 구매액 1조9천억원을 상회했다. 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한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구매국 자리를 유지해오다 작년에 처음으로 중국에 밀려났다.

 

중국 플랫폼의 빠른 성장세 속에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도 2021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넘어서며 적자 전환됐다. 지난해에는 그 적자 폭이 5조1천억원에 달했다.

 

또 한경협이 국내에서 활동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중국 플랫폼들은 작년 초부터 한국 시장을 빠르게 잠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사용자 수 기준으로 지난해 1월 플랫폼 순위는 1위 쿠팡, 2위 11번가, 3위 G마켓, 4위 티몬이었다. 5위는 2018년 국내 시장에 진입한 알리익스프레스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하지만 1년 반도 채 지나지 않아 이러한 플랫폼 순위는 크게 변화했다.

 

올해 5월 기준 쿠팡은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2∼5위는 차례로 알리익스프레스, 11번가, 테무, G마켓이었다. 중국 기업이 2위와 4위를 꿰찬 것으로, 테무는 작년 7월 국내 진출 후 1년도 안 돼 5위권에 진입했다.

 

한경협은 중국 플랫폼이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는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유통 정책개선과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