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대기업 '날고', 중견기업 '휘청'…500대 중견기업 1분기 영업익 2.7%↓

CEO스코어, 국내 500대 상장 중견기업 1분기 실적 조사

 

【 청년일보 】 올 1분기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영업이익이 두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견실한 성장기조를 이어간 반면, 중견기업들은 영업이익이 감소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특히 국내 대표산업인  IT전기전자 업종에서도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한 반면, 장비 및 부품업종이 대부분인 중견기업들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1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상장 중견기업의 올 1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은 60조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3천85억원(4.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조9천41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221억원) 대비 2.7%(805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영업이익 감소세는 500대 대기업의 1분기 영업이익이 60조9천628억원으로 전년 동기(52조734억원) 대비 17.1%(8조8천894억원) 급증한 것과 큰 대조를 보이는 모습이다.

 

중견기업 중 한미반도체(409억원·142.6%)는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증가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어 ▲원익피앤이(323억원·흑자전환) ▲씨젠(292억원·흑자전환) ▲한국카본(285억원·1092.8%) ▲주성엔지니어링(269억원·382.4%) 등도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제이앤티씨(-459억원·적자전환)는 1분기 영업이익이 가장 크게 줄었다. 이어 ▲더블유씨피(-310억원·적자전환) ▲톱텍(-294억원·적자전환) ▲삼목에스폼(-248억원·-78%) ▲피엔티(-239억원·-62.8%) ▲성신양회(-226억원·적자전환) 등도 실적이 악화됐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건자재 업체들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천396억원(-65.6%) 급감하며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업종 내 40개 기업 중 25곳의 영업이익이 줄었고,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도 지난해 1분기 6곳에서 올 1분기 11곳으로 늘었다.

 

IT전기전자 업종의 중견기업 영업이익도 22.6% 감소했다. 해당 업종 내 102개 중견기업 중 절반이 넘는 57곳의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 수도 23곳에서 35곳으로 늘었다. 

 

또한 IT전기전자 업종 내 중견기업 간 희비도 엇갈렸다. 전 세계적인 AI(인공지능) 특수로 고대역폭메모리(HBM) 관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업체들은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반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모바일·PC 관련 업체들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실제, SK하이닉스와 미국 마이크론 등에 반도체 장비를 공급중인 한미반도체를 필두로, 주성엔지니어링과 이수페타시스, 원익IPS 등 반도체 관련 업체들은 1분기 영업이익 증가액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모바일 부품 기업인 제이앤티씨, 이차전지 관련 업체인 더블유씨피와 피엔티, 서진시스템, D램 기판 제조 업체인 해성디에스 등은 업황 부진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됐다.

 

이 외에도 제지(-549억원·-78.3%), 의료기기(-204억원·-49.9%), 유통(-25억원·-3.6%) 중견기업의 영업이익도 감소세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