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달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된 '2025 APEC CEO 서밋'이 역대 최대 규모 참가자, 최다 세션(프로그램), 최장 기간을 기록한 가운데 기술과 문화, 경제를 융합한 가장 역동적인 글로벌 경제포럼으로서 외신을 비롯해 글로벌 경제인들의 찬사와 호평이 뒤따랐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APEC CEO 서밋 폐막 한 달을 맞이해 APEC CEO 서밋의 성과와 의미를 짚어보는 '통계로 본 APEC CEO Summit Korea 2025'를 25일 발표했다.
올해 서밋은 'Bridge, Business, Beyond'를 주제로 한 가운데 개막식에서 특별연설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폐막 연설에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나서 세계적 관심을 끌었다.
제인 프레이저(씨티그룹), 맷 가먼(AWS), 호아킨 두아토(존슨앤존슨) 등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50대 기업 다수가 참여했다. 이들의 합산 시가총액은 약 20조 달러 규모에 달한다.
이번 서밋에는 역대 최대인 총 2천224명이 참가했다. 경제계에서는 713개 기업에서 1천852명이 참석해 작년 페루 CEO 서밋 보다 약 200여명, 2년 전 미국보다 약 460여명 많은 참석자를 기록했다. 각국 정부 및 공공부문에서도 372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대한상의는 "단순한 규모의 확장을 넘어, 각국 정부와 산업계, 학계가 함께 참여하는 다층적이고 포용적인 행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면서 "정부 주도의 APEC 정상회의와 함께 민간 주도의 APEC CEO 서밋을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APEC의 외교적 의미와 더불어 민간 경제인 플랫폼의 중요성을 전 세계에 각인 시키는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번 서밋은 단순한 담론의 장을 넘어 기술과 문화, 경제가 함께 어우러지는 복합형 비즈니스 플랫폼인 'K-APEC 모델'을 전 세계 선보였다.
공식 세션 외에 부대 프로그램 참석자만 약 2만5천420명(누적기준)에 달했다. 분야별로는 글로벌 대표기업들의 기술 전시장인 'K-Tech 쇼케이스'에 1만1천145명이 참여했고, 인공지능(AI)·조선·방산·유통·디지털자산·미래에너지 분야를 주제로 한 '퓨처테크 포럼'에 2천270명이 참석했다.
특히 '와인&전통주 페어'에는 9천362명이 참가하며 현장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각국 대표 주류를 통해 회원국 문화를 체험한 참가자들의 반응이 뜨거웠으며, 정부 대표단이 직접 자국 주류를 소개하기도 했다.
지역경제 파급 효과도 컸다. 대한상의와 딜로이트 공동 분석에 따르면 이번 서밋 경제효과는 약 7조 4천억원, 고용 유발 효과는 약 2만 2천명으로 추산됐다.
실제 APEC 이후 경주 방문객 증가는 뚜렷했다. 경주시와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APEC 행사 전후 약 한 달간(10월 1일~11월 4일) 경주 방문객 수는 589만 6천30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79만 8천838명) 대비 22.8% 증가했다. 외국인 방문객은 20만 6천602명으로, 전년 동기(15만 2천363명) 대비 35.6% 증가했다.
행사 관련 보도량은 총 1만7천952건(국내 1만1천772건, 해외 6천180건)으로 집계됐다.
해외 주요 언론들은 이번 행사를 두고 "APEC 역사상 가장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CEO Summit", "한국이 첨단기술 기반의 글로벌 경제협력 허브로 부상했다" 등 연이어 긍정적 평가를 내놓았다.
틱톡, 유튜브, 페이스북 등 주요 소셜 플랫폼에서 'APEC CEO Summit' 관련 언급은 30만 건 이상, 노출 수는 11억 회 이상, 이용자 반응(좋아요·댓글·공유 등)은 약 400만 건으로 집계됐다.
이성우 대한상의 APEC 경제인행사 추진단장은 "이번 서밋은 민간 중심의 글로벌 협력 플랫폼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한 의미 있는 계기"라면서 "대한상의는 APEC 참여국, 글로벌 기업, 산업 리더들과의 연계를 기반으로 공동 프로젝트, 기술 협력, 투자 확대 등 후속 프로그램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