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올해 국내 완성차업계의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잇따라 난항을 겪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전기차 체제 전환에 따른 고용불안 우려가 커지면서 노사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5개 국내 완성차 제조사 중 쌍용차 노사만 임단협 협상을 끝냈고, 나머지 4개사는 9월 중순이 다 돼가는 상황에서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올해 국내 완성차업계 임단협의 주요 화두는 고용 불안정이다.
현대·기아차 노조는 전기차 핵심 부품을 외부에서 생산하면 인력 감축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이에 대응해 전기차 전용 공장을 국내에 신설하거나 기존 생산시설 중에서 지정해 달라는 요구와 함께 E-GMP(전기차 전용 플랫폼)와 전기차 핵심 모듈 등을 완성차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기아차 노조는 현대모비스의 친환경차 부품 공장 신설에 반발했다. 기아차 노조는 전기차 부품을 외부에서 생산하면 인력 감축이 40%까지 가능한 것으로 예상하며 전기·수소차 모듈 부품 공장을 사내에 만들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와 회사 입장에는 차이가 큰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차 본교섭에는 사측이 불참했고 10일 열린 1차 실무교섭에서도 협상이 불발됐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고용 안정을 요구하며 임단협 협상 결렬 선언을 검토하고 민주노총 금속노조 가입을 추진했다. 이는 지난 5월 르노 본사가 글로벌 공장 6곳에서 1만5000명을 감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이후 한국이 포함될 수 있다는 불안이 퍼진 데 따른 대응이다.
하지만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찬성률이 3분의 2를 넘지 않아 부결되는 등 노조원들의 반발도 적잖다.
한국GM 노조도 10일 임금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조는 7월 22일부터 이달 3일까지 회사 측과 10차례 교섭을 했으나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파업권 확보에 나섰다.
1∼2일 열린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조합원 80%가 찬성했고 4일엔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 하지만 회사 측 교섭위원의 가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자 중노위가 쟁의조정 신청 취하를 제안해 일단 보류됐다.
노조는 2022년 이후 인천 부평2공장 생산 계획을 제시하라고 사측에 요구해왔다. 부평2공장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 ‘트랙스’와 중형 세단 ‘말리부’ 등이 단종되면 공장 폐쇄나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노조는 이번에 사측이 내놓은 부평2공장 미래 발전 전망에 대해 “해석해볼 필요조차 없다”고 반발했다.
【 청년일보=이승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