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는 2008년 도입되어 지금껏 많은 시정과 보완을 거쳐 시행 되어오고 있는 요양보험 서비스 입니다.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대비하여 비교적 앞서 준비하고 혼란을 방지하자는 목적에서 조기에 시작된 제도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조기 시행이라기 보단 적절한 시기에 시행 되어졌다 생각됩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대한민국 노인인구 수는 약 950만명으로써 꾸준히 증가되어왔고 10년 뒤에는 총 인구 수의 변화는 없으나 노인인구 수는 약 140만명으로 증가할 예상 입니다. 그에 따라 노년 부양비와 노령화 지수 역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사실 현재도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사회 부작용이 크게 실감되지는 않는데 그건 실제 아직 시작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2050년이 되는 해에는 우리나라 인구 절반에 가까운 연령이 65세 이상에 진입할 정도로 암울한 예상이 정해져 있으니까요. 그러니 15년전에 이미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시행하여 65세 이상 노인에게 장기요양등급을 발급하고, 요양시설 및 재가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칭찬해줄 만한 일 이라 생각됩니다. 장애등급과 장기요양등급은 전혀
【 청년일보 】 우리나라의 폭발적인 노인인구 증가와 더불어 가장 문제 시 되는 점은 바로 치매환자의 증가입니다. 현재 치매환자 수는 90만명을 넘어 2024년에는 100만명을 넘을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을 보면 2050년에는 노인인구 6명 중 1명이 치매에 걸리며 인구 추정치를 302만명으로 예상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통계적 수치는 치매로 의심되는 환자 및 보호자가 자발적으로 병원 진료를 통해 진단받은 수치 일 뿐입니다. 아직 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경증 치매 환자의 수를 더하면 더욱 확증될 것이므로 개인이 아닌 국가적 과제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치매 국가책임제 실시와 함께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료 적용,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 상한제 도입, 치매 안심병원 및 지원센터 확대가 실시되고 있는 중입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256개 치매안심센터가 운영되며 치매 관련 교육과 가족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인 및 단체를 치매파트너로 선정하여 지역단위 치매극복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치매는 단순한 질병이 아닙니다. 흔히 알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부터 혈관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루이체 치매, 전측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