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美 적정 기준금리 3.12%…"韓 추종시 3.65%까지 인상 우려"

한경연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발표
美 인플레이션 등 반영 '적정 기준금리' 3.12%…추가인상 필요
韓 적정 기준금리 3.65%, 현수준 대비 1.4%p 추가인상 여지
"기준금리 1.4%p 인상시 연간 가계대출 이자 34.1조원 증가"

 

【 청년일보 】 원화 가치가 하락할 경우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폭은 이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왔다.


28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3.12%로 추정하고, 한국이 이에 추종할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3.65%까지 인상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무역수지 흑자 등 원화가치 안정화 노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미국이 경기침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올해 6월 0.75%p 금리인상의 자이언트 스텝에 이어 7월에도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한 것은 인플레이션 속도가 지나치게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6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1%로 지난 1981년 11월 9.6% 이후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물경기는 같은달 실업율 3.6%를 기록하면서 전월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1/4분기 GDP성장률은 전기대비 -0.4%로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인플레이션율(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본원통화 증가율, 단기(6개월) 국공채금리 등 경제변수로 미 기준금리를 설명하는 모형과 미 연준의 금리결정 준칙 등을 감안한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3.12%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미국 연준이 경기침체를 감수하고라도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리기로 한 만큼, 적정수준이 될 때까지는 인상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경연은 지난 2002년 1월 이후의 월별자료를 이용해 추정한 한미간의 적정 기준금리 차이는 최소 0.53%p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러한 추정치에 기초해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향후 기준금리를 적정수준인 3.12%까지 인상할 경우,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인상 폭을 산출했다.


우선, 원화 환율이 안정적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기대환율 절하율 0%), 미국의 기준금리가 3.12%가 되고, 한국의 기준금리가 현 수준인 2.25%가 유지될 경우,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는 -0.87%p로 벌어져 금리역전 현상이 일어나는 만큼, 적정 기준금리 차이인 0.53%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은행이 1.4%p를 인상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경연은 "따라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는 현재의 2.25%에서 1.4%p 인상된 3.65%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 한경연은 우리나라 가계대출 금리를 한국 기준금리로 설명하게 하는 모형을 추정하고, 한국 기준금리가 기대환율을 감안한 적정 한미 기준금리차 유지를 위해 최소 필요한 금리 인상폭인 1.4%p(지난 26일 기준 2.25%→3.65%)만큼 인상될 경우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을 계산했다.


결과,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1.4%p만큼 올라가면 가계대출 금리는 1.65%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34.1조원으로 추정됐다.


여기에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비율과 전체가구 수 등을 이용하면,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당 이자부담은 292만원씩 늘어나게 된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미국의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가계 등 민간의 취약한 금융방어력을 고려해 인상 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인상폭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가장 중요하지만, 원화가치 안정도 긴요하므로, 기업경쟁력 제고, 원자재 수급안정을 통해 무역수지 흑자전환 등으로 외환시장에 달러 공급이 늘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