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5.3℃
  • 맑음강릉 27.0℃
  • 맑음서울 26.5℃
  • 맑음대전 27.9℃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25.0℃
  • 맑음광주 27.1℃
  • 맑음부산 24.9℃
  • 맑음고창 24.0℃
  • 맑음제주 25.3℃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5.8℃
  • 맑음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2℃
  • 맑음경주시 28.1℃
  • 맑음거제 26.6℃
기상청 제공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 급성장…국내 시장은 '주춤'

"AI 반도체에 치우친 지원책, 경쟁력 있는 AI 모델 개발로 확장 필요"

 

【 청년일보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부상과 함께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이 고속 성장하고 있는 반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상대적으로 정체된 상황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15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디지털 아웃룩'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전망을 분석한 결과, AI·빅데이터·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 투자 증가로 올해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은 작년 대비 11.4% 증가한 2조5천621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복잡해지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투자를 지속하면서 내년에는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이 2조9천2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 점유율을 국가별로 보면, AI 산업계를 장악한 미국이 46.0%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나타냈다. 미국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는 1조1천784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에 이어 영국이 6.8%의 점유율을 보였고, 일본이 6.0%로 그 뒤를 이었다. 4위인 중국은 16.7%의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고, 스위스(14위, 15.8%), 인도(9위, 15.7%) 등 국가에서도 15%대 고성장이 예상된다.


반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전년 대비 9.8% 증가하며 글로벌 성장률 평균을 밑돌았다.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313억달러로 세계 시장 점유율 1.2%에 그치는 수준이다. 이로 인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은 글로벌 상위 13위를 2년 연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에 뒤처져 있다.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AI 모델을 대표하는 소프트웨어와 AI 반도체가 주축인 하드웨어 시장 모두에서 글로벌 시장 팽창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AI가 가져다줄 산업적 기회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반도체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AI 모델 업계 관계자는 "정보기술(IT) 당국의 AI 산업 지원책이 AI 반도체에만 쏠려 있고 AI 모델 육성은 등한시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며 경쟁력 있는 AI 모델 개발 등 소프트웨어 지원책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