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4대 금융 회수 포기한 대출 2조7천억...지난해 말 대비 25%↑

올해만 5천429억원 증가…차주 상환 능력 악화 영향

 

【 청년일보 】 4대 금융그룹이 회수를 포기한 대출 채권이 지난해 말 대비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금융그룹이 채권 회수를 대규모로 포기한 것은 그만큼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2분기 말 '추정손실'은 총 2조7천494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2분기 말의 2조1천981억원보다 25.1% 증가했고 이 중 올해 증가분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말(2조2천65억원) 대비 증가율이 24.6%다.

 

다만, 올해 1분기 말(2조8천329억원)보다는 3%가량 줄었다.

 

금융그룹이 보유한 대출 채권은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해 건전성을 관리한다. 이 중 고정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대출이며, 고정이하여신, 즉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을 아울러 부실채권(NPL)으로 분류한다.

 

건전성이 가장 낮은 단계인 추정손실은 ▲채무 상환능력의 심각한 악화로 회수 불능이 확실해 손실 처리가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12개월 이상 연체대출금을 보유하고 있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최종부도 발생, 청산·파산절차 진행 또는 폐업 등의 사유로 채권 회수에 심각한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 예상 가액 초과분 등에 해당하는 자산이다.

 

금융그룹별로는 KB금융의 추정손실 규모가 지난해 2분기 말 4천868억원에서 올해 2분기 말 5천567억원으로 14.4% 증가했다.

 

신한금융은 8천613억원에서 1조327억원으로 20% 가까이 늘어 2014년 3분기 말(1조1천167억원) 이후 11년 만에 가장 많았다.

 

하나금융은 3천180억원에서 4천329억원으로 36.1%, 우리금융은 5천320억원에서 7천271억원으로 36.7% 각각 늘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올해 들어 금융그룹이 채권 회수를 대규모로 포기한 것은 그만큼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은행 고정이하여신의 신규 발생 규모가 확대됐지만, 정리 규모는 소폭 축소됐다"며 "자산건전성이 저하됐다"고 평가했다.

 

금융그룹에 속한 저축은행 등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의 건전성은 "차주의 채무 상환 부담 지속, 건설·부동산업 업황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저하됐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