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1 (금)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8.3℃
  • 맑음서울 10.7℃
  • 맑음대전 9.3℃
  • 맑음대구 10.5℃
  • 맑음울산 9.5℃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12.3℃
  • 맑음고창 4.0℃
  • 맑음제주 10.3℃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5.7℃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7.5℃
  • 맑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대기업집단 등기임원 중 6.5%는 오너일가…KCC 42.4% 비중 '최대'

삼성‧LG는 오너일가 등기임원 단 1명뿐…이재용 회장 '미등기임원'

 

【 청년일보 】 자산 5조원 이상 국내 대기업집단 78곳의 등기임원 중 오너 일가는 100명 중 7명꼴로 나타났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된 88개 기업 중 동일인이 있는 78개 기업집단을 대상으로 10월 기준 등기임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등기임원 1만2천719명 중 830명(6.5%)이 오너일가인 것으로 집계됐다.

 

등기임원 중 오너일가 비중이 30%를 넘는 그룹은 6곳에 달했다. 비중이 가장 높은 그룹은 케이씨씨(KCC)로 전체 등기임원 59명 중 오너일가가 25명으로 절반 가까운 42.4%로 나타났다.

 

이어 ▲영원(88명 중 34명, 38.6%) ▲셀트리온(43명 중 15명, 34.9%) ▲SM(224명 중 76명, 33.9%) ▲부영(98명 중 30명, 30.6%) ▲농심(80명 중 24명, 30.0%) 순이었다.

 

오너일가 등기임원의 수로 보면 SM(76명)이 가장 많았으며 ▲지에스(37명, 8.0%) ▲영원(34명, 38.6%) ▲보성(33명, 15.2%) ▲KG(31명, 26.1%)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오너일가 등기임원이 단 한 곳도 없는 그룹은 ▲DL ▲미래에셋 ▲이랜드 ▲태광 등 4곳이었다.

 

총수가 있는 10대 그룹의 오너일가 등기임원 비중은 1.9%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삼성(1명, 0.3%)의 경우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유일했으며, LG 역시 구광모 회장이 그룹 내 등기임원 중 유일한 오너일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5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한 미등기 임원이다. 이 회장은 과거 국정농간 사건 연루에 따른 사법 리스크 부담 등으로 인해 미등기 임원으로 활동 중이다.

 

SK는 전체 등기임원 1천52명 중 오너일가 11명(1.0%), 현대자동차(368명 중 10명, 2.7%), 롯데(489명 중 6명, 1.2%) 한화(501명 중 4명, 0.8%) 등으로 집계됐다.

 

10대 그룹 중 오너일가 등기임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GS로 463명 중 37명(8.0%)이다.

 

오너일가 한 사람이 여러 등기임원직을 겸직한 수가 가장 많은 인물은 SM그룹의 박흥준 SM그룹 정도경영본부장으로, 총 62개 계열사에서 17개(27.4%)를 겸직하고 있다. 박 본부장은 우오현 SM그룹 회장의 사위다.

 

이어 이중근 부영 회장이 21개 계열사에서 15개(71.4%)를 겸직해 뒤를 이었으며, 그의 딸 이서정 부영주택 전무가 21개 계열사에서 13개(61.9%)를 겸직한 것으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 2021년 5월 대비 오너일가 등기임원 겸직 수 증가폭이 가장 큰 오너일가는 이중근 부영 회장이었다. 그는 지난해 8월 출소한 뒤 경영일선에 복귀하면서 15곳을 겸직했다.

 

이어 박흥준 본부장(3개→17개), 이서정 전무(2개→13개) 순으로 증가 폭이 컸다.

 

반면 등기임원 겸직 수가 가장 크게 줄어든 인물은 최승석 SM스틸 부회장으로 2021년 14개에서 현재 7개로 7개 감소했다. 이어 우명아 SM그룹 구매실장(14개→9개), 신동철 반도홀딩스 부사장(9개→4개), 김홍국 하림 회장(7개→3개) 순으로 겸직 수가 감소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