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회관. [사진=대한상공회의소]](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8/art_1745802014435_847310.jpg)
【 청년일보 】 최근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반도체 등 전략산업 지원을 통해 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의원연구단체인 '국가 미래비전 포럼', 한국경제학회와 함께 28일 의원회관에서 '한국형 반도체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조정식(대표의원), 정태호(연구책임의원), 이학영(고문 겸 국회부의장), 안호영, 권영진, 김주영, 이기헌, 임광현, 정진욱 의원 등 포럼 소속 의원들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근 한국경제학회장 등이 참석했다.
김덕파 고려대 교수는 "정부가 반도체에 실질 GDP 0.25%(5조5천억원 정도)를 매년 지원하면 연간 성장률이 매년 0.17%포인트(약 3조7천억원)씩 성장한다"면서 "지원이 없을 경우 R&D 투자 감소 등으로 연간성장률이 매년 0.16%포인트(약 3조5천억원)씩 감소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면, GDP에 기여하는 실질 효과는 매년 7조 2천억원 이상에 달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유에 대해 "재정지원으로 민간투자 유발뿐만 아니라 반도체 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경쟁력 강화, 반도체산업 성장이 다른 관련 산업의 성장도 유발하기 때문"이라면서 "우리 정부도 경쟁국처럼 직접보조금 지급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지원금의 재정환류 효과도 제시했다.
김 교수는 "GDP 1%(22조원)를 반도체에 지원할 경우 추가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해 국세 수입이 매년 약 4~6조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HBM 기반 반도체 설비투자에 지원하는 경우 재정환류 시점이 더욱 앞당겨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패널토론에 나선 김창욱 BCG MD파트너도 "한국은 직접 지원보다는 세제 지원 중심의 간접적 지원"이라면서 "대기업 특혜 관념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도체 필수인프라 지원에 대해 고종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실장은 "그동안 수요자 부담 원칙에 따라 기업이 직접 구축하는 과정에서 비용 증가와 인허가 지연 등의 부담이 가중됐다"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현시점에서는 기업이 첨단 제조 시설 구축 등 본연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게끔 정부가 더 책임있게 인프라를 구축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반도체 인재 확보에 대한 조언도 있었다.
최재혁 서울대 교수는 "국내에서 양성된 우수인재의 이탈 방지와 해외 고급두뇌의 국내유치 등 병행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기업은 성과에 대한 파격적인 보상 체계를, 정부와 대학은 우수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규봉 산업부 반도체과장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33조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재정 지원도 2026년까지 4조원 이상 투입할 계획"이라면서 "정부는 앞으로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관세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대미(對美) 협의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