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7/art_17573951646486_50e252.jpg)
【 청년일보 】 최근 미 당국이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을 급습해 300명 이상의 한국인이 체포·구금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가운데, 공장 건설 재개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규모로 구금된 근로자들에 대한 석방 교섭이 마무리돼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외국 기업을 대상으로 불법체류 단속 강화를 예고하면서 대미 투자를 단행한 국내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지시각으로 지난 4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배터리회사) 건설현장에서 450여명을 불법 체류 혐의로 체포했다.
이 과정에서 구금된 한국 국적자는 300여명으로, LG에너지솔루션 소속 47명(한국 국적 46명·인도네시아 국적 1명)과 HL-GA 배터리컴퍼니 설비 협력사 직원 250여명 등으로 파악됐다.
이곳 현장은 지난 2023년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해 설립한 HL-GA 배터리컴퍼니 건설 부지다. 양사는 각각 50%씩 지분을 투자해 총 43억달러(약 6조원)를 투입했으며, 당초 올해 말까지 완공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간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미 당국의 대규모 단속으로 인력이 대거 빠지면서 공사는 중단됐고, 재개 시점 역시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배터리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지 건설 현장 정상화를 위해 대체 인력을 빠른 시일내에 투입할 준비를 해야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례 없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비자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 대부분 비이민 단기 상용비자(B-1)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발급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미국에서 취업하려면 전문직 취업비자(H-1B)나 주재원용 비자(L1·E2)를 발급받아야 한다.
그러나 취득 조건이 까다로울뿐더러 소요 기간이 수개월 걸리는 만큼, 전문인력이 수시로 필요한 공장 건설이나 초기 생산단계에서 단기 상용 비자(B-1)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를 소지한 채로 가는 경우가 관행처럼 자리잡았다는 것이 재계의 설명이다.
다행히 우리 정부가 미국 당국과 협의를 통해 구금된 우리 국민 300여 명의 귀국을 위한 준비 절차에 착수하며 일단락됐지만, 미 정부가 향후에도 이와 유사한 대규모 단속을 시사하면서 대미 투자를 단행한 국내 기업들은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국경 안보 총괄 책임자(일명 국경 차르)인 톰 호먼은 7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이뤄진 불법체류·고용 단속으로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이 체포된 상황에서 앞으로 유사한 대규모 단속이 더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짧게 말해서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정상적인 비자를 갖추지 않은 불법적 입국과 불법체류 외국인 고용은 범죄에 해당한다"면서 "우리는 훨씬 더 많은 현장 단속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기업들은 자칫 현지 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미국 체류 직원들의 비자 등이 업무에 적법한지 점검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 동안의 편법적 비자 관행이 만연했으며, 사전에 미리 '비자 리스크'를 대비해야 했지만 결국 제때 못해 이같은 사태가 발생했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비자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만큼, 비자 발급 확대 등 근원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형국"이라고 말했다.
한편,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된 한국인을 태울 전세기가 이르면 오는 10일 현지로 출발할 예정이다.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르면 10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행 B747-8i 전세기를 투입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 중인 우리 국민 귀국을 위한 전세기 투입에 필요한 비용은 관련 기업 측에서 부담할 예정"이라며 "따라서 정부의 비용 청구 또는 구상권 행사 대상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